높이 3.5m. 197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나옹(懶翁) · 무학(無學) 화상의 부도에 이어 천보산(天寶山) 회암사 동쪽 능선 맨 뒤쪽에 서 있는 이 부도는 충렬왕 말년에 고려에 들어와 머물렀던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 고승 지공(指空)의 사리탑으로, 팔각당형(八角堂形)을 기본구조로 하여 기단부(基壇部) · 탑신부(塔身部) · 상륜부(相輪部)가 모두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다.
약간 두꺼운 지대석(地臺石) 위에 팔각형 상 · 하대석과 고복형(鼓腹形)의 중대석으로 이루어진 기단부는, 상대석만이 앙련석(仰蓮石) 모양을 하여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을 뿐, 표면에는 아무런 장식도 하지 않아 매우 단순 소박한 형태를 하고 있다.
팔각모양의 옥개석(屋蓋石)에 둥근꼴의 몸체를 하고 있는 이 부도의 탑신부 역시 기단부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에는 일체의 장식이 없어 단조로움은 한층 더해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팔각 옥개석은 낙수면(落水面)의 경사가 급하고 추녀끝 선이 두꺼워 다소 둔중해 보이긴 하지만, 지붕마루에 마련된 여덟 개의 융기선과 낙수면이 만들어 내고 있는 현저한 곡선으로 말미암아 경쾌함 또한 엿보인다.
지붕 위 기둥모양의 상륜부는 앙련으로 대신하고 있는 복발(覆鉢)과 서로 연결되어 조각한 꼭대기의 보륜(寶輪)과 보주(寶珠)로 이루어져 있다.
부도 앞쪽에 떨어져 자리하고 있는 석등은 사각형을 기본구조로 하여 하대석으로부터 굵직한 간석(竿石) · 상대석 · 화사석[火舍石: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과 옥개석에 이르기까지 모두 네모꼴을 이루어 둔중해 보일 뿐만 아니라 딱딱한 느낌을 준다.
이 석등의 특징은 기단부 갑석(甲石) 위아래 부분의 모서리를 모죽임하여 처리한 점과 2매의 판석을 세워 화사석을 만듦으로써 화창(火窓)이 앞뒤쪽으로만 두 개 뚫려 있는 점이라 하겠다.
낙수면이 거의 직선을 이루어 지공선사부도와 대조를 보이고 있는 옥개석은 부도의 옥개석과 마찬가지로 네 곳의 내림마루에만 융기선을 마련했을 뿐이며, 꼭대기에는 연꽃봉오리 모양의 보주를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