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 )

공주 갑사 삼세불도(아미타불)
공주 갑사 삼세불도(아미타불)
회화
유물
국가유산
갑사 대웅전의 삼세불상 뒤쪽에 후불화로 봉안된 삼세불도 및 삼세불도 발견 복장유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公州 甲寺 釋迦如來三世佛圖 및 腹藏遺物)
분류
유물/불교회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0년 04월 23일 지정)
소재지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갑사 (중장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갑사 대웅전의 삼세불상 뒤쪽에 후불화로 봉안된 삼세불도 및 삼세불도 발견 복장유물.
개설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영산회, 약사회, 극락회를 나타내야 하는 삼세불도 세 폭 가운데 약사불도는 도난당하여 현존하지 않으나 석가불도와 아미타불도 두 폭이 남아있다. 두 폭의 불화 높이는 각각 4미터가 넘으며 의겸의 화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용 및 특징

중앙에 자리한 석가불도는 키 모양 광배를 갖추고 오른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에 항마촉지인을 지은 석가불을 화면 상단에 큼직하게 그린 다음, 아래쪽에는 문수·보현 협시보살을 중심으로 한 6보살과 사천왕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그 위쪽 광배 좌우로는 가섭과 아난존자를 비롯한 10대 제자와 함께 8금강을 대칭으로 그려 넣었다.

오른쪽(향하여 왼쪽)에 봉안된 아미타불도 역시 석가불도와 거의 같은 구성을 보이고는 있으나 약간 달라진 존상의 배열을 보인다. 먼저 관음·세지보살을 위시한 아미타팔대보살을 본존인 아미타불 몸 광배 주위로 배열하고 좌우 하단에는 사천왕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머리 광배 좌우로는 2위의 타방불(他方佛)을 두고 그 바깥쪽으로 가섭과 아난존자 등 4대 제자와 6금강 및 용왕·용녀가 마치 호위하듯 그려져 있다.

두 그림 모두 세련된 필치로 각 존상의 얼굴 모습과 신체형태, 문양 등을 표현하고, 적색과 녹색 위주에 난색(暖色) 계열의 색채를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온화한 느낌이다.

한편 두 불화 모두 화면 하단에 화기(畵記)가 잘 남아 있고 복장낭(腹藏囊)과 동경(銅鏡), 후령통(喉鈴筒), 다라니(陀羅尼) 등과 발원문(發願文)이 함께 발견되어 그림의 조성시기는 1730년이고, 조성화원은 의겸(義謙)을 책임화원(首畵員)으로 행종(幸宗), 채인(採仁), 일민(日敏), 덕민(德敏), 각천(覺天), 지원(智元), 정관(皛寬), 책활(策闊) 등이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는 화기가 분명하고 복장유물이 함께 발견되어 조선 후기 불교회화의 경향 및 의겸 유파의 화풍 파악은 물론, 불화 복장의식 연구에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삼신삼세불 도상 연구」(김창균,『강좌미술사』32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9)
「갑사 삼신불괘불화 및 삼세불후불도 연구」(김창균,『불교문화연구』제2집, 한국불교문화학회, 200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창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