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부도군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동화사 부도군 전경
대구 동화사 부도군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들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부도군.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들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부도군.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높이 1.41m∼3.32m. 1986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동화사에 이르는 입구의 동화문을 지나 돌다리 북쪽 언덕에 늘어서 있는 이 부도군은 스님들의 사리(舍利)를 봉안한 묘탑(墓塔)이다.

조성시기가 가장 앞서는 고운당묘탑(孤雲堂墓塔, 높이 188㎝, 1676년)을 비롯하여 계영당극린대사탑(桂影堂克麟大師塔, 높이 229㎝, 1692년)·성임당축존대사탑(性任堂竺尊大師塔, 높이 233㎝, 1700년)·상봉정원대사탑(霜峯淨源大師塔, 높이 251㎝, 1709년)·함우당묘탑(涵宇堂墓塔, 높이 265㎝, 1720년)·기성대사탑(箕城大師塔, 높이 234㎝, 1764년)·성암당해정대사탑(聖巖堂海淨大師塔, 높이 215㎝, 1839년)·제월당대사탑(霽月堂大師塔, 높이 332㎝, 1927년)과 조성시기를 알지 못하는 고한당묘탑(孤閑堂墓塔, 높이 141㎝)·무명탑(無名塔, 높이 241㎝) 등 모두 10기이다.

이들 부도군의 형식은 크게 통일신라 이래로 그 전통이 이어져오고 있는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과, 조선시대에 이르러 가장 보편적인 형태가 되어버린 종형(鐘形) 두 가지로 구분지어진다.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종형 승탑은 형태를 지극히 단순하게 처리하고 있는 반면에, 앙련(仰蓮)과 복련대(伏蓮帶)를 갖추고 있는 팔각원당형 승탑은 둥근 형태의 탑신 위에 4각 또는 8각 모양의 지붕돌 [屋蓋石]을 얹어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둔중하고 경직된 지붕들의 처리 등 제작기법과, 세부적인 양식 특징이 동화사 금당암(金堂庵) 앞의 대구 도학동 승탑(보물, 1975년 지정)에 비해 보다 단순하고 도식화되어 있어 조선시대 후반에 조성된 승탑임을 짐작케 해준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창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