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 ()

목차
관련 정보
삼층석탑 / 간송미술관 소장
삼층석탑 / 간송미술관 소장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건조된 소형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건조된 소형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높이 2.2m.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탑은 화강석(花崗石)으로 만들어진 자그마한 규모의 소형탑으로, 상하 2층 기단부(基壇部)에 3층의 탑신부(塔身部)와 상륜(相輪)을 갖추고 있는 아담한 크기이다.

상하층의 갑석(甲石)을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으로 처리하여, 마치 불상의 대좌(臺座)를 보는 듯한 기단부 중 하층기단은 요즈음 새로 만들어 끼워 넣은 중석(中石)과 복련무늬가 조각된 갑석으로 구성되었다.

중석과는 달리 처음 조성했을 때의 부재(部材)로 여겨지는 갑석은 복판(複瓣)의 복련대로 각 면에 3엽씩 12엽을 높은 돋을새김[高浮彫]하여 부피감이 있어 보이며, 네 모서리에 귀꽃을 마련하여 장식적인 면을 보여 준다. 갑석의 윗면에는 2단의 상층기단부 중석굄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본래의 부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상층기단 역시 중석과 갑석으로 짜여 있는데, 중석에는 아무런 장식없이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만이 모각(模刻)되어 있고, 갑석은 앙련이 돋을새김되어 있다. 단판(單瓣)의 앙련에는 안쪽에 꽃잎 장식이 있으며, 하대의 복련에 비하여 다소 평면적인 느낌을 준다.

상대 중석과 마찬가지로 몸체의 네 모서리에 기둥모양이 조각되어 있는 탑신은 초층 탑신에 비해 2층·3층 탑신의 체감률이 심하여 비례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탑신에 대하여 다소 둔중해진 옥개석(屋蓋石)은 3단의 층급받침을 하고 있으며 옥개석의 네 귀가 약간 반전(反轉)되어 있다. 그리고 3층 옥개석 위의 상륜부는 모두 결실되어 현재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만이 남아 있다.

옥개석받침이 줄어들어 다소 가냘퍼 보이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탑신부의 짜임새가 간결하고 아담한 이 소탑은 소형화하는 고려시대 석탑 양식을 갖추고 있어 고려시대의 석탑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서울문화재대관』(서울특별시, 198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창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