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성미래몽

현대문학
작품
근대계몽기, 신채호(申采浩)가 쓴 신문 연재 계몽소설.
작품/문학
발표 연도
1909년
작가
신채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지구성 미래몽(디구셩미ᄅᆡ몽)」은 근대계몽기 신채호(申采浩)가 쓴 신문 연재 계몽소설이다. 1909년 7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대한매일신보』 국문판 ‘소설’란에 총 19회 연재되었지만, 미완으로 끝난 소설이다. 대한제국 사람 우세자가 인도 출신의 원장법사를 만나 현실에 대해 토론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정의
근대계몽기, 신채호(申采浩)가 쓴 신문 연재 계몽소설.
서지사항

「지구성 미래몽」은 1909년 7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대한매일신보』 국문판 ‘소설’란에 순한글로 연재되었다. 약 2달에 걸쳐 총 19회 연재되었지만, 미완으로 끝난 소설이다.

내용

주인공 우세자는 대한제국 사람으로 민족의 부패함과 국세의 빈약함을 근심하여 월보와 잡지를 발간하며 세상을 주1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우세자를 미친 사람 취급하며 인간 취급을 하지 않자 이러한 인심과 현실을 개탄하며 정처 없이 유랑을 떠난다.

어느날 우세자는 수미산에서 인도 출신의 원장법사를 우연히 만나 시세를 개탄하는 대화를 주고받는다. 원장법사는 주2에서 본 제국주의에 희생된 주3들의 끔찍한 참상을 말해주고 이를 들은 우세자는 망국의 위기에 처한 조선의 현실을 생각해 비탄에 빠진다. 원장법사와 우세자는 자신들의 조국인 인도와 조선이 위기에 처하게 된 원인을 비교 토론하고 이를 타개할 대책을 강구한다.

그 뒤 우세자는 원장법사의 인도로 주4에 올라가 곳곳을 유람하는 도중 해월존자라는 노승을 만나게 된다.

특징

「지구성 미래몽」은 제목의 ‘몽(夢)’ 자(字)를 통해 몽유록임을 나타내고 있지만, 몽유록의 가장 큰 특징인 입몽과 각몽의 과정이 없어 몽유록이라 하기에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들이 염라부의 지옥불교에서 말하는 세계 중심에 있다는 상상 속의 산 수미산, 천국을 의미하는 옥경을 자유롭게 넘나든다는 점에서 환상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세자와 원장법사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작품의 서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토론체 소설로도 볼 수 있다. 주5음과 가사 등 시가의 적절한 도입과 판소리 주6의 사용, 4‧4조 주7의 문장은 단재 신채호 문학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단재 신채호가 이 작품을 지은 의도는 당시 나라가 처한 위급한 현실을 환기하고 국민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 작품이 대화체와 주8로 된 것은 이러한 작가의 의도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이 작품은 서사성이 크게 강화되어 있는데, 이는 망국민들이 모여 있는 염라부의 정경 묘사와 주인공과 같은 지식인들이 아무리 민족 계몽을 부르짖어도 오히려 미친 사람 취급하는 사람들의 세태에 대한 묘사와 이를 통해 드러나는 주제의 현실성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지구성 미래몽」은 작가의 계몽 의도만 전달하기 급급해 소설적 장치를 돌아보지 않았던 당시 대화 · 토론체 소설에서 대중들의 흥미 유도까지 고려한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지구성 미래몽」 (『대한매일신보』, 1909.7.15.~8.10.)

단행본

김영민,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1 대한매일신보—』 (소명출판, 2006)

논문

김주현, 「단재의 서사문학 계보와 「지구성미래몽」의 의미」 (『어문학』 125, 한국어문학회, 2014)
주석
주1

남을 깨치어 이끌어 줌. 우리말샘

주2

지옥의 주신(主神)인 염라대왕이 지배하는 유명계(幽冥界). 우리말샘

주3

망하여 없어진 나라의 백성. 우리말샘

주4

하늘 위에 옥황상제가 산다고 하는 가상적인 서울. 우리말샘

주5

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탄하는 노래 글귀. 우리말샘

주6

말이나 이야기를 늘어놓듯이 표현하는 문체. 우리말샘

주7

4음보로 이루어진 가사의 문체. 산문에 가깝다. 우리말샘

주8

개화기 문학 작품에서, 근대식 토론과 연설의 발화 형식을 빌려 쓴 문체.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