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례사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중국의 요(遼)와 금(金)에 보내던 사신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중국의 요(遼)와 금(金)에 보내던 사신의 하나.
내용

3차에 걸친 요의 침입 이후 양국간에 평화가 성립되고 다양한 사행을 교류하게 되면서 고려는 요의 동경유수(東京留守)에게도 사신을 파견하였는데, 이를 지례사라 하였다.

요의 조정에 보내는 것이 아니어서 격이 낮았으므로 보통 7품관인 각문지후(閣門祗候)가 정사(正使)를 맡았으나, 이 또한 사행인 만큼 부사(副使)는 물론 서장관(書狀官)도 있었다. 한편, 지례사의 파견에 대한 답변으로 요의 동경유수는 즉시 회사지례사(回謝持禮使) 내지 회례사(回禮使)로 불리는 사신을 보내 왔다.

이러한 지례사 및 회례사의 교류는 요를 대신하여 금이 들어 선 이후에도 계속되었다가 금이 멸망하면서 중단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