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개인소장. 이 작품은 명부의 구주인 지장보살과 그의 대표적인 협시인 도명존자(道明尊者), 무독귀왕(無毒鬼王) 등 지장보살삼존을 그린 것이다. 전형적인 지장삼존도의 형식에서 벗어난 특이한 구도를 보여 주는 작품이다.
지장보살은 커다란 신광(身光: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과 두광(頭光: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을 지니고 바위 위에 앉아 반가좌 하고 있는 모습이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놓아 투명한 보주를 받들고 있으며 왼손은 왼쪽 무릎 위에 대고 있다. 얼굴은 넓적한 편이며 이목구비가 작게 묘사되었다. 머리는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두건을 쓴 모습이 아닌 승려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녹색 바탕에 커다란 금니의 원형 화문(花文: 꽃무늬)과 초화문(草花文)으로 장식된 천의(天衣: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를 양어깨에 걸치고 있으며 안에는 군의를 입고 있다. 붉은 바탕에 화문이 아름다운 군의 자락이 반가좌를 하고 있는 다리 아래로 길게 늘어져 있다. 지장보살의 오른쪽 가슴 부근으로는 천의 아래로 치레 장식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치레 장식은 고려시대 후반기, 특히 14세기 이후 불상이나 불화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지장보살이 앉아있는 바위는 수월관음도에서 관음보살이 앉아있는 바위와 유사하다. 바위 가장자리를 금니로 칠하여 조광 효과를 주는 것 또한 동일한 수법이다. 가부좌를 풀어 내린 왼쪽 다리는 활짝 핀 하얀 연꽃 위에 올려놓았다. 그 주위로 홍련(紅蓮)과 황련(黃蓮)이 소담스럽게 피어있다.
지장의 권속인 무독귀왕과 도명존자는 보통 지장의 좌우에 시립한 것과 달리 여기에서는 두 권속이 비스듬히 묘사되어 변화를 보여 준다. 본존의 우측에는 왕의 모습을 한 무독귀왕이 두 손으로 공손히 금색의 경궤(經机)를 받쳐 들고 왼쪽을 향해 비스듬히 서서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좌측에는 지장보살의 지물인 육환장(六環杖)을 든 도명존자가 지장보살을 향해 고개를 돌리고 서있다. 그런데 도명이 서 있는 위치는 지장보살이 앉아 있는 바위 뒤쪽이다. 지장보살의 앞쪽에 묘사된 무독귀왕과 사선으로 서 있으면서 어느 정도 원근감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구도법은 고려 불화에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매우 독창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삼존상 앞에는 개처럼 생긴 동물이 한 마리 웅크리고 앉아 있다. 이 동물은 문수보살의 화신이라고 알려진 금모사자(金毛獅子)를 표현한 것이다. 호림박물관 소장 지장시왕도(고려)의 금모사자와 유사하다.
이 작품은 약간 손질이 가해지긴 하였지만 보존 상태가 좋다. 일반적인 지장보살도의 형식과는 다른 독특한 구도와 기법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