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로왕도 ()

목차
관련 정보
감로왕도(18세기 말)
감로왕도(18세기 말)
회화
작품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8세기 말 작.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265㎝, 가로 294㎝. 호암미술관 소장. 상단·중단·하단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감로도의 형식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화기(畫記)가 결실되어 정확한 제작 연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18세기 말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상단의 중앙에는 6여래가 구름을 타고 내영하는 모습이 표현되었다. 좌측에는 아미타불·관음보살·지장보살 등 아미타삼존이, 우측에는 번(幡 : 설법할 때 절 안에 세우는 깃대)을 든 인로왕보살과 연꽃대좌를 받쳐 든 천녀가 구름을 타고 내려오고 있다.

중단에는 백미와 연꽃, 모란꽃 등으로 화려하고 풍성하게 차려진 시식대가 놓여 있다. 제단의 좌우에는 왕후장상(王侯將相), 선왕선후(先王先后) 등이 합장을 하고 제단을 향하여 서 있다.

제단 아래쪽에는 한 스님이 국자를 들고 발에 담긴 음식을 퍼내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양쪽에서 두 마리의 아귀가 스님을 향하여 합장하거나 발을 들고 음식을 먹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아귀의 아래에는 상주들이 제단을 향하여 손을 들고 기원하는 모습과 작은 아귀들이 발을 들고 줄을 서서 구걸하는 모습이 보인다. 제단의 오른쪽에는 독경하는 스님과 큰 북을 두드리고 바라춤을 추는 스님들이 재를 지내는 모습이 표현되었다.

하단은 겹겹이 쌓인 구릉 사이에 다양한 장면들이 묘사되어 있다. 지옥문 앞을 나서는 영혼들의 모습과 한빙 지옥(寒氷地獄)·확탕 지옥(鑊湯地獄)·발설 지옥(拔舌地獄)의 참혹한 형벌 장면은 마치 시왕도의 지옥 장면을 연상시킨다.

이외에도 전쟁 장면을 비롯하여 칼로 사람을 죽이는 장면, 물에 빠져 죽거나 호랑이에 물려 죽는 장면, 나무 위에서 떨어져 죽는 장면 등은 육도(六道)의 여러 모습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반면 장대 위에 서서 묘기를 부리는 광대나 죽방울놀이를 하는 광대, 가면을 쓰고 춤추는 초랭이의 모습은 민중들의 애환을 달래 주던 예인들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당시의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참고가 될 만하다. 채색은 황토색을 바탕으로 하여 밝은 홍색과 양록색을 주조색으로 하였고 갈색과 흰색, 옅은 청색, 금색 등을 아울러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감로-조선시대 감로탱』상,하(통도사성보박물관,2005)
『감로탱』(강우방·김승희, 도서출판 예경, 1995)
「감로도 도상의 기원과 전개 -연구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김정희, 『강좌미술사』47,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6)
「朝鮮時代 甘露圖의 圖像硏究」(김승희, 『미술사학연구』196, 한국미술사학회, 199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