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말 작.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265㎝, 가로 294㎝. 호암미술관 소장. 상단·중단·하단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감로도의 형식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화기(畫記)가 결실되어 정확한 제작 연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18세기 말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상단의 중앙에는 6여래가 구름을 타고 내영하는 모습이 표현되었다. 좌측에는 아미타불·관음보살·지장보살 등 아미타삼존이, 우측에는 번(幡 : 설법할 때 절 안에 세우는 깃대)을 든 인로왕보살과 연꽃대좌를 받쳐 든 천녀가 구름을 타고 내려오고 있다.
중단에는 백미와 연꽃, 모란꽃 등으로 화려하고 풍성하게 차려진 시식대가 놓여 있다. 제단의 좌우에는 왕후장상(王侯將相), 선왕선후(先王先后) 등이 합장을 하고 제단을 향하여 서 있다.
제단 아래쪽에는 한 스님이 국자를 들고 발에 담긴 음식을 퍼내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양쪽에서 두 마리의 아귀가 스님을 향하여 합장하거나 발을 들고 음식을 먹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아귀의 아래에는 상주들이 제단을 향하여 손을 들고 기원하는 모습과 작은 아귀들이 발을 들고 줄을 서서 구걸하는 모습이 보인다. 제단의 오른쪽에는 독경하는 스님과 큰 북을 두드리고 바라춤을 추는 스님들이 재를 지내는 모습이 표현되었다.
하단은 겹겹이 쌓인 구릉 사이에 다양한 장면들이 묘사되어 있다. 지옥문 앞을 나서는 영혼들의 모습과 한빙 지옥(寒氷地獄)·확탕 지옥(鑊湯地獄)·발설 지옥(拔舌地獄)의 참혹한 형벌 장면은 마치 시왕도의 지옥 장면을 연상시킨다.
이외에도 전쟁 장면을 비롯하여 칼로 사람을 죽이는 장면, 물에 빠져 죽거나 호랑이에 물려 죽는 장면, 나무 위에서 떨어져 죽는 장면 등은 육도(六道)의 여러 모습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반면 장대 위에 서서 묘기를 부리는 광대나 죽방울놀이를 하는 광대, 가면을 쓰고 춤추는 초랭이의 모습은 민중들의 애환을 달래 주던 예인들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당시의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참고가 될 만하다. 채색은 황토색을 바탕으로 하여 밝은 홍색과 양록색을 주조색으로 하였고 갈색과 흰색, 옅은 청색, 금색 등을 아울러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