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 )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아미타불)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아미타불)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에 봉안된 조선시대의 비로자나삼불회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慶州 祇林寺 毘盧遮那三佛會圖)
분류
유물/불교회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9년 02월 23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기림로 437-17 (양북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 기림사 대적광전에 봉안된 조선시대의 비로자나삼불회도.
개설

200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중앙에 비로자나불회도 중심으로 왼쪽에 약사불회도, 오른쪽에 아미타불회도가 배치되어 있다.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약사불을 세 폭으로 나누어 그린 것으로, 각 화폭은 주존을 중심으로 좌우에 타방불, 보살, 10대 제자가 배치되었고, 화면 좌우와 상단에 사천왕과 팔부중, 금강 등이 배치되어 있는 설법도 형식을 취하였다.

내용

중앙의 비로자나불회도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 협시보살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각각 여의(如意)와 연꽃을 들고 시립하였으며, 그 위로 타방불,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비롯한 10대제자, 보살 등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었고, 화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호법신인 사천왕과 팔부중, 금강, 용왕, 용녀 등이 비로자나불을 감싸듯 배치하였다. 불단 아래에 핀 연꽃은 여의주와 용뿔을 담은 항아리를 떠받들 듯 받치고 있다. 약사불회도는 약함을 든 약사불을 중심으로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비롯한 보살들이 좌우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두광 주변에 10대제자가 배치되었다. 화면 가장자리에는 사천왕, 상단에는 약사12신장, 팔부중 등이 약사불의 설법을 외호하고 있다. 아미타불회도는 좌우에 팔대보살과 사천왕, 상단에 10대제자, 팔부중이 층을 이루며 배치되었다. 세 폭 모두 본존을 중심으로 많은 존상을 배치하였는데, 존격이 낮은 나한과 신장 등은 화면 상단에 작게 그려 화면 내에서 공간감을 살렸다. 채색은 황토색 바탕에 홍색, 녹색을 비롯한 노란색, 하늘색, 초록색 등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담채색에 가까운 색감은 18세기 초반 불화의 색채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불화는 수화사인 천오(天悟)를 비롯하여 금명(錦明), 최훈(最熏), 적조(寂照), 지순(智淳), 조한(祖閑), 임한(任閑) 등이 그렸는데, 18세기에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약한 임한이 제작에 참여하고 있어 천오와 임한의 사승관계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특징

조선시대에 많이 조성된 삼불회도는 석가모니불화와 아미타불화, 약사불화로 구성된 삼세불화(三世佛畵), 비로자나불화와 석가불화, 노사나불화로 구성된 삼신불화(三身佛畵)가 일반적이지만, 이 불화는 비로자나불화와 아미타불화, 약사불화로 이루어져 있어 삼세불화와 삼신불화를 결합한 형식을 보여준다.

현황

현재 기림사 대적광전의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약사불 뒤에 각각 후불탱화로 봉안되어 있다. 손상이 심한 녹색은 개채(改彩)를 해서 원형이 손상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불화에서와 같이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을 결합한 삼세불 형식은 중국 남송대에서부터 나타난 형식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불화에서 일부 볼 수 있는데 기림사 비로자나삼신불화는 그중 가장 이른 예에 속한다. 이후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삼불회도는 1840년에 원담 내원(圓譚 乃元)과 익찬(益贊) 등이 제작한 선운사 벽화로 이어졌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 38-불국사 본ㆍ말사편』(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비로자나삼신불도상의 형식과 기림사 삼신불상 및 불화의 연구」(문명대, 『불교미술』15, 동국대학교박물관, 1998)
「삼신불의 도상특징과 조선시대 삼신불회도의 연구-보관불연구 I」(문명대, 『한국의 불화 (12)-선엄사편』, 성보문화재연구원, 199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