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전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관청의 운영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지급된 토지.
이칭
이칭
지위전(紙位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관청의 운영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지급된 토지.
내용

공수전(公須田)·장전(長田)과 함께 공해전(公廨田)을 구성하고 있었는데, 관청에서 필요한 지물을 조달하기 위한 재원으로 마련되었다. 지위전(紙位田)이라 일컬어지기도 하였다.

대체로 국·공유지 위에 설정되었으며, 주로 사분취일(四分取一)의 원칙에 입각한 전호제(佃戶制)에 의해 경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전은 중앙은 물론 지방의 각 관아에까지 지급되었으나, 중앙관청에 지급된 내역은 공수전의 경우와 같이 불명이다.

지방의 경우는 983년(성종 2)에 각 주(州)·부(府)·군(郡)·현(縣)·향(鄕)·부곡(部曲)·역(驛)별로 인정(人丁)의 다과에 따라 차등있게 분급하도록 규정하였는데, 500정(丁) 이상의 주·현에는 15결, 100정 이상의 주·현에는 10결, 그밖에는 7결씩의 토지를 지전으로 지급하였다.

또, 대로(大路)의 역에는 5결, 중로·소로의 역에는 2결, 그리고 향과 부곡에는 3결씩을 지급하도록 하였다. 한편, 국초부터 분사제(分司制)에 의거하여 특별하게 운영되던 서경(西京)의 여러 관아에 대해서도 일찍이 지위전이라는 이름으로 지전이 지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뒤 그 분급규정은 1178년(명종 8)에 이르러 개정되었는바, 유수관(留守官)에는 272결(結) 37부(負) 7속(束), 육조(六曹)에는 15결, 그리고 승록사(僧錄司)에는 15결을 지급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대(高麗時代) 국(國)·공유지(公有地)의 경영(經營)」(김재명, 『논문집(論文集)』2, 한국정신문화연구원부속대학원, 1987)
「공전지배(公田支配)의 제유형(諸類型)」(강진철,『고려토지제도사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 고려대학교출판부,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