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환경전 ( )

목차
관련 정보
창경궁 환경전
창경궁 환경전
건축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전기 침전으로 사용한 전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전기 침전으로 사용한 전각.
내용

정면 7칸(19. 116m), 측면 4칸(8. 623m), 기둥높이 10척. 창경궁을 창건한 해인 1484년(성종 15)에 처음 지어졌고,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6년(광해군 8)에 재건하였다.

그러나 1830년(순조 30)에 다시 큰 불이 일어나 조선 중기의 건물도 불타버리고, 지금의 건물은 1834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침전이었으므로 남향으로 앉히고, 남·서·북쪽에 행각(行閣)을 두르고 동쪽에 담장을 둘러 독립된 구역을 설정하였으나, 주변의 부속건물은 모두 없어진 채 주건물만이 남아 있다.

기둥높이 10척(尺)이며 평면의 구성은 창경궁 경춘전과 똑같다. 그러나 현재는 바닥 전체에 마루를 깔아놓았고 대청과 방을 구분하던 칸막이벽이나 문 등이 남아 있지 않아 옛모습을 짐작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기둥 위에 짜올린 2익공(二翼工)도 경춘전과 같으며 다만 평방과 공포, 처마 및 서까래 등에 칠한 단청이 다를 뿐이다. 건물 내부 천장은 대청칸에는 소란반자, 그 양 옆방에는 종이반자로 막고, 툇간만 서까래를 그대로 드러나게 하였다.

내부를 원형대로 복원, 조선시대 궁궐 침전의 실상을 보여줄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단아한 형태와 화려한 단청이 잘 어우러져 있어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목조건축임이 분명하다.

참고문헌

『궁궐지(宮闕誌)』(헌종년간)
『동궐도형(東闕圖型)』(순조년간)
『궁궐지(宮闕誌)』(고종년간)
『창경궁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85)
『한국의 고궁건축』(신영훈·장경호, 열화당, 198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장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