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동 ()

목차
관련 정보
천문동
천문동
식물
생물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이다. 우리나라 남부 해안지방에서 많이 자라며, 뿌리줄기는 짧고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원줄기는 길이 1∼2m로 덩굴성이고 가지가 가늘고 평활하다.

잎처럼 생긴 가지는 1∼3개씩 총생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 너비 1∼1.2㎜로서 활처럼 굽으며 윤채가 있다. 꽃은 연한 황색으로 5∼6월에 피고 잎겨드랑이[葉腋]에 1∼3개씩 달린다. 열매는 백색이고 흑색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이용한다. 유효성분으로는 아스파라진(asparagine) ·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실험에서 이뇨 · 강장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실험관 내에서는 주1 · 주2 · 주3 · 주4 등에 대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이 약의 약성은 차고 맛은 달고 약간 쓰다. 효능은 노인의 주5 · 주6 등으로 끈적끈적한 가래가 나오거나 잘 배출되지 않고 열이 있으면서 오래도록 해소가 지속되는 증상에 쓰인다. 다른 주7 · 주8와는 달리 기관지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면서 담을 제거한다.

폐결핵에 걸려 기침 · 가래가 심하고 농이 배출될 때에도 쓰인다. 결핵후유증으로 미열이 있거나 빈혈과 병후의 쇠약으로 인한 미열을 다스리는 데에도 자주 쓰이며, 천식에도 유효하다.

발열성질환의 후기에 변비가 있고 미열을 수반할 때에도 효험을 본다. 오래 복용하면 피부가 윤택하여지고 소변을 잘 볼 수가 있다. 당뇨병에는 갈증을 제거하여 주며 성기능을 촉진시키는 데에도 사용한다.

금기로는 몸이 차고 장기능이 원활하지 못하여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는 쓰지 못한다. 한방에서는 중등도로 이용되며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폐결핵에 쓰이는 천문동환과 강장에 활용되는 삼재탕(三才湯)이 있다.

참고문헌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리창복, 향문사, 1982)
『한약임상응용(韓藥臨床應用)』(이상인·안덕균·신민교, 성보사, 1982)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 科技出版社, 1979)
주석
주1

코점막과 피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포도상 구균. 피부 발진, 콩팥ㆍ간ㆍ중추 신경계에 병을 일으키는 외독소, 식중독과 관계있는 창자 독소를 만든다. 화상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말샘

주2

용혈성 연쇄상 구균에 감염되어 온몸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환. 급성의 중증 질환으로는 인두염, 성홍열, 단독, 산도열 등이 있는데 모두 중독성, 패혈증성, 화농성이 특징이다. 비화농성 합병증인 급성 신장염이나 류머티즘열도 이 병에 감염된 지 2~3주 후에 알레르기 기전으로 발병한다. 우리말샘

주3

엽폐렴의 병원균. 1886년에 독일의 의사 프랑켈(Frankel, A.)이 폐렴 환자의 가래 속에서 발견한 그람 양성(Gram陽性)의 구균으로, 보통 두 개씩 짝을 지어 배열하여 존재한다. 우리말샘

주4

인두와 후두 점막면과 혈청에서 잘 번식하여 디프테리아를 일으키는 균. 비운동성의 그람 양성 간균(杆菌)이다. 1883년에 독일의 세균학자 클레프스(Klebs, E.)가 발견하였다. 우리말샘

주5

먼지ㆍ가스ㆍ흡연 따위가 원인이 되어 기관지에 발생한 염증. 증상이 1년에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이런 증상이 2년 이상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6

폐에 결핵균이 침입하여 생기는 만성 전염병. 처음에는 거의 증상이 없다가 병이 진행됨에 따라 기침ㆍ가래가 나오며 폐활량이 줄어들어 호흡 곤란이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7

가래를 없앰. 우리말샘

주8

기침을 멎게 하는 데 쓰는 약.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