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체 높이 111㎝, 머리 높이 33.5㎝. 이 불상은 대좌만을 갖추고 있으나 불상의 뒷면에 광배를 부착하였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광배도 갖추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석조여래좌상(보물, 1965년 지정)과 함께 청룡사 법당 안에 봉안되어 있다.
머리에는 넓고 큼직한 육계가 솟아 있으며 머리카락은 소라 모양의 나발(螺髮)을 선각하였다. 얼굴은 거의 사각형에 가까워 넓고 풍만하지만 볼륨이 별로 없고 평판적이다. 가늘고 긴 눈은 거의 직선에 가깝게 표현되었다. 코는 파손되었으며, 코와 입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 특이한 인상을 준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희미하게 표현되었다.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무겁게 처리되었다. 옷주름은 평행선으로 나타냈다. 어깨부터 양손에 걸쳐 흘러내린 옷주름 선은 유려하기는 하나 형식화되어 부자연스러운 주름을 형성하고 있다.
두 손은 가슴 부근에서 오른손을 위, 왼손을 아래로 포개어 지권인(智拳印)을 결하고 있다. 지권인을 짓고 있는 모습은 같은 시기에 제작된 장곡사 철불좌상에 비하여 훨씬 힘이 빠져 긴장감이 줄어든 모습이다. 두 다리는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그러나 법의가 두꺼워 다리의 윤곽은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대좌는 정사각형 모양이며, 상대·중대·하대로 이루어졌다. 상대석의 4면에는 각 면에 3엽씩 모두 12엽의 단판연화문(單瓣蓮花文: 홑잎의 연꽃잎무늬)이 조각되었고, 연화문 안쪽에는 꽃무늬가 장식되었다. 상대석 아래에는 2단의 각형(角形)과 1단의 굄으로 받침을 삼고 있다.
중대석에는 각 면에 큼직한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고, 그 내부에는 삼산형(三山形)의 귀꽃이 표현되어 고려적인 특징을 잘 보여 준다. 하대석은 앞부분이 파손되었다. 그러나 측면에는 안상이 둘씩 배치되었으며 여기에도 삼산형의 귀꽃이 있다.
이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8, 9세기 이래 유행한 금강계비로자나불좌상의 양식을 계승한 작품이다. 하지만 움츠러들고 생동감이 없는 체구나 약화된 사각형 대좌, 형식적인 옷주름, 긴장감이 줄어든 신체 각 부분의 표현 등으로 볼 때 고려 초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