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복사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지방에 보내던 임시 사행.
목차
정의
고려시대 지방에 보내던 임시 사행.
내용

왜구의 침입이 극심했던 공민왕 및 우왕 연간에 집중적으로 파견되었다. 왜구가 침입한 지역의 민정을 살펴 보고하고, 전투를 독려하며, 그 상황을 점검하는 등 출정군에 대한 감독을 주된 임무로 하였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투를 몸소 지휘하기도 하였다.

이들에게는 패전한 무장 및 지방관을 직접 단죄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았는 바, 그런 만큼 대장군(大將軍)·판서(判書) 등을 비롯하여 왕의 총애를 받는 3품 이상의 고위 관원이 주로 이에 임명되었다.

한편, 당시 왜구 격퇴를 위한 출정이 거의 전국적인 현상이었던 만큼 남도(南道)는 물론 양계(兩界)에까지 체복사가 파견되었다. 기본적으로 도(道)를 단위로 파견되었으나 하나의 체복사가 2개 이상의 도를 관할하는 경우도 있었다. 심지어 1383년(우왕 9)에는 전국을 총괄하는 오도체복사를 파견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역주(譯註)』1(이기백, 고려사연구회, 1969)
「고려후기(高麗後期)의 군사(軍事) 지휘체계(指揮體系)」(오종록, 『국사관논총(國史館論叢)』24, 1991)
집필자
김재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