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옹실기 ()

목차
관련 정보
포옹실기
포옹실기
유교
문헌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정지산의 유고와 축문 · 제문 등을 수록하여 1912년에 간행한 실기.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정지산의 유고와 축문 · 제문 등을 수록하여 1912년에 간행한 실기.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12년 후손 재진(載鎭)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영환(閔泳煥)·김복한(金福漢)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 재성(載性)·익현(益鉉) 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국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유문으로 시 3수, 사(詞) 1편, 부록으로 동학사제단기(東鶴寺祭壇記)·가전(家傳)·실록(實錄)·정랑공행적(正郎公行蹟)·장릉배식록열전(莊陵配食錄列傳)·노릉사실(魯陵事實)·상왕복상록(上王服喪錄)·동학사초혼각사적(東鶴寺招魂閣事蹟)·상왕제각초혼사(上王祭閣招魂辭)·축문·제문·추감록(追感錄)·제관록(祭官錄)·동학서원사적(東鶴書院事蹟)·팔선생추향봉안문(八先生追享奉安文)·동학기적(東鶴記蹟)·동학각기(東鶴閣記)·초혼사위차(招魂祀位次)·사하추부기(賜下追付記)·동학사초혼기서(東鶴寺招魂記序)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에 통문(通文) 2편, 도장(道狀)·부보고서(府報告書) 각 1편, 서(書) 2편, 정예원장(呈禮院狀)·소(疏) 각 1편, 주본(奏本) 2편, 서임(敍任)·입안(立案)·훈령(訓令)·분황축(焚黃祝)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조상의 유지(遺址)와 묘소를 돌아보고 느낀 감회를 묘사한 내용이다. 사의 「자규사(子規詞)」는 당시 상왕(上王)인 단종이 참화를 당하고, 자신의 양부인 정분(鄭苯)이 경상·충청·전라 3도의 도체찰사(都體察使)가 되었다가 1454년(단종 2) 계유정난으로 인해 참화를 당한 데 대한 원한과 비통함을 표현한 내용이다.

부록의 「동학사제단기」는 단종·황보인(黃甫仁)·김종서(金宗瑞)·정분 등과 사육신(死六臣)의 혼령을 달래기 위해 제단을 설치하고 제향한 기록이다. 부록에는 단종이 참화를 당한 기록과, 저자와 그의 양부 정분에 대한 글이 있어 사료적 가치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동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