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거십팔곡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시가
작품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연시조.
내용 요약

한거십팔곡은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연시조이다. 모두 19수로, 그의 문집 『송암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작품 전체가 현실 세계로부터 일탈하여 강호자연 속으로 침잠하기까지의 과정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단계적·논리적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각 연은 의미상의 맥락을 가지고 구조적으로 짜여 있어 시상과 주제의 전개 및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현실과의 끈끈한 맥에서 출발하여 현실과의 관련성에서 끝맺는 구조는 작자의 본심이 강호가 아니라 현세에 있음을 반증한다.

목차
정의
조선 선조 때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연시조.
내용

조선 선조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연시조. 모두 19수로, 그의 문집 『송암별집(松巖別集)』에 수록되어 있다. 각 연은 독자적인 주제를 개별적으로 노래한 것이 아니라, 의미상의 맥락을 가지고 구조적으로 짜여 있어 시상과 주제의 전개 및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벼슬길과 은거생활의 갈등에서부터, 속세에 미련을 갖지 않고 강호의 풍류를 즐기며 살아가는 담담한 심회를 적어 내려간다. 이어서 현실세계의 티끌을 초월한 자신의 모습을 마지막 1수에 덧보태어 끝맺었다.

작품 전체가 현실세계로부터 일탈하여 강호자연 속으로 침잠(沈潛)하기까지의 과정을 시간적 계기에 의하여 단계적 · 논리적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제 1연에서는 작자의 마음이 현실세계에 이끌려(충효관념으로 나타남.) 마음의 방황을 거듭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당시 작자의 마음을 “생평(生平)애 원(願)ᄒᆞᄂᆞ니 다ᄆᆞᆫ 충효(忠孝) ᄲᅮᆫ이로다/이두일 말면 금수(禽獸)나 다라리야/ᄆᆞᄅᆡ애 ᄒᆞ고져 ᄒᆞ야 십재황황(十載遑遑)ᄒᆞ노라.”라고 표현하였다.

제4 · 5연을 전후하여 현실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과 강호생활을 즐기자는 마음 사이의 갈등을 겪고 있음이 드러난다.

제9∼15연에 이르러서는 자연 속에서 안분자족(安分自足)하는 삶을 노래하였다. 이어서 자연에서 살아가는 자신의 삶에 대한 가치관을 확고히 한다.

그후에, 마지막 제19연에서 “강간(江干)애 누어셔 강수(江水) 보ᄂᆞᆫᄠᅳ든/서자(逝者) 여사(如斯)ᄒᆞ니 백세(百歲)○들 멷근이료/십년전(十年前) 진세일념(塵世一念)이 어ᄅᆞᆷ녹듯 ᄒᆞᆫ다.”라고 끝맺는다. 즉 첫연에서의 현세에 대한 미련의 감정이 ‘얼음 녹듯’ 해소되었음을 적고 있는 것이다.

작자는 이렇게 강호자연에 침잠하는 삶을 통해 현세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해소한 듯이 선언했다. 그러나 이 작품이 현실과의 끈끈한 맥에서 출발하여 현실과의 관련성에서 끝맺는 구조를 취하고 있음은, 작자의 본심이 강호에 있음이 아니라 현세에 있음을 반증한다.

즉, 현실의 근심을 잊기 위하여 처사적(處士的) 삶을 선택하지만, 무위자연의 노장적(老莊的) 삶 속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관념으로 허구화된 자연의 공간 속에서 현세의 불평과 시름을 치유하고자 할 뿐이다.

그것은 현실이 아무리 불만스러워도 그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 사대부적인 은일 자세 때문이다. 제8연에 “출(出)ᄒᆞ면 치군택민(致君澤民) 처(處)ᄒᆞ면 조월경운(釣月耕雲)”이라 노래한 것에서도 이 점은 확인된다.

이러한 현세 긍정의 끈끈한 맥은 다음과 같은 심적 갈등의 내면표출이라는 문학성을 낳는다. “강호(江湖)애 노쟈ᄒᆞ니 성주(聖主)를 ᄇᆞ리례고/성주(聖主)를 셤기쟈ᄒᆞ니 소락(所樂)애 어긔예라/호온자 기로(岐路)애 셔셔 갈ᄃᆡ몰라 ᄒᆞ노라.”(제4연).

실제로 작자는 현실에 대한 불평을 바탕으로 하여 노래를 지었음을 밝힌 바 있다. 평생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처사로 살았지만, 현실을 외면한 채 은둔하는 자세는 취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노래는 강호가도(江湖歌道)의 후기 모습을 보여주는 한 사례로서, 자연이라는 공간을 문학 속으로 끌어들여 작자의 실존적 모습을 제시한 작품으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

참고문헌

『송암별집(松巖別集)』
「한거십팔곡소고(閑居十八曲小考)」(윤영옥, 『국어국문학연구』 16, 영남대학교, 1974)
집필자
서원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