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사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객체적 개념어의 대가 되는 주체적 정의(情意)만을 나타내는 종류의 단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허사는 객체적 개념어의 대가 되는 주체적 정의(情意)만을 나타내는 종류의 단어이다. 중국어의 단어 분류에서 실사를 뺀 모든 단어가 허사에 속하며 허사(虛詞), 허자(虛字)라고도 한다. 허사는 단어가 가진 본래의 의미가 퇴화되면서 굴절에 상당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문법어(grammaticalword) 또는 형식어(form word)라고도 한다. 허사는 실사의 대가 되는 개념으로 쓰이면서 자립어와 의존어의 관계에 대체로 상응한다. 의존어는 언제나 자립어에 부속되어 여러 관계적 변이를 나타내는 데 쓰이거나, 주로 관념과 관념 사이의 이어지는 관계를 나타내는 일에 쓰인다. 허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단독으로는 어절을 이룰 수 없으므로 한 어절 중에는 반드시 실사가 하나 있고 허사는 없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을 수도 있다.

목차
정의
객체적 개념어의 대가 되는 주체적 정의(情意)만을 나타내는 종류의 단어.
내용

허사(虛詞)라고도 하며, 실사(實辭, 實詞)에 대립되는 말이다. 본시 중국어의 단어분류에서 실사를 뺀 모든 단어가 이에 속하며, 허자(虛字)라고도 한다.

문법범주를 구성하는 어형변화가 어느 정도 독자성을 가진 단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언어에 있어서는 일부 어떠한 단어의 본래의 의미가 차츰 퇴화되면서 마치 다른 언어의 굴절(屈折)에 상당하는 기능으로 쓰이는 일이 흔히 있다.

이것이 곧 허사이며, 문법어(grammaticalword) 또는 형식어(form word)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허사는 실사의 대가 되는 개념으로 쓰이면서 자립어와 의존어의 관계에 대체로 상응한다.

의존어는 그것만으로는 실질적으로 온전한 관념을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언제나 자립어에 부속되어 여러 관계적 변이를 나타내는 데 쓰이거나, 주로 관념과 관념 사이의 이어지는 관계를 나타내는 일에 쓰인다.

일반적으로 조사 · 조동사(영문법에서는 관사 · 대명사 · 조동사 · 전치사 · 접속사 등) 따위가 이에 속하나, 견해에 따라 그 내용에는 차이가 있다.

허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단독으로는 어절을 이룰 수 없으므로 한 어절 중에는 반드시 실사가 하나 있고 허사는 없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을 수도 있다(영희로 · 부 · 터 · 의 · 전화, 잊어 버 · 렸 · 다 · ).

허사는 유어(類語, class word)에 대한 기능어(機能語, function word)와도 대비된다. 프리스(Fries, C. C. )의 분류 역시 양분법에 의하여 유어와 기능어로 되어 있는바, 그 중 기능어는 그것이 문 중에 놓이는 자리, 즉 기능을 기준으로 하여 15어군(group)으로 나누었고, 그것들은 품사에서 제외하였다.

기능어가 유어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① 그 수가 유어에 대하여 비교가 안 될 만큼 적다. 비록 수는 적을지라도 실제 말에 있어서 그들은 사용빈도가 매우 높아서, 얼핏 보기에 다양한 것처럼 느껴진다.

② 발화의 최소기본형식을 구성하는 것은 유어이지 기능어는 아니다. 기능어는 가끔 확충된 발화에 나타난다.

③ 유어는 하나하나의 어휘적 의미(lexical meaning)와 그것의 구조적 의미(structural meaning)를 명확히 분리하기가 쉽지만 기능어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것이 특색이다.

④ 가장 큰 차이로서 유어는 기능상 일반적인 인지특징(認知特徵, general identifying character-istics)이 있고, 그 때문에 우리는 하나하나의 유어가 나타내는 어휘적 의미를 모르더라도 그 구조적 의미를 오인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기능어에는 그러한 인지특징이 없기 때문에 발화의 구조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어를 개별적으로 알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은 기능어는 크게 보아 허사와 같은 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나 전적으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허사의 규정은 주로 의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 내용이 반드시 명확하다고는 할 수 없고, 대체로 기능어보다는 대상의 범위가 좁게 구분된다.

참고문헌

『한어어법상식(漢語語法常識)』(장지공, 1953)
Language(Bloomfield,L. , N. Y. , 1933)
The Structure of English(Fries, C. C. , N. Y. , 195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