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경래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우군칙과 평안도에서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71년(영조 47)
사망 연도
1812년(순조 12)
본관
남양(南陽)
출생지
용강(龍岡)
내용 요약

홍경래는 조선후기 우군칙과 평안도에서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이다. 1771년(영조 47)에 태어나 1812년(순조 12)에 사망했다. 과거에 낙방한 뒤 풍수로서 각지를 전전하며 백성들의 비참한 현실을 목도하면서 사회모순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었고, 풍수로서 부호의 집을 드나들던 우군칙을 만나 반란을 모의했다. 향촌에서 성장한 세력과 상인·양반지식층까지 끌어들여 반란을 준비한 뒤 1811년 극심한 흉년으로 민심이 흉흉해진 틈을 타 난을 일으켰다. 초기에는 평안도 일대를 점령하는 등 승승장구했으나 관군에게 패하면서 총을 맞고 사망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우군칙과 평안도에서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남양(南陽). 용강(龍岡) 출신. 외숙 유학권(柳學權)에게 학문을 배웠고, 1798년(정조 22) 사마시에 낙방했으나 과거를 치를 만큼 경서에 대한 일정한 수준의 교양을 지녔다. 그와 함께 주1나 제반 주2, 특히 『정감록(鄭鑑錄)』 등에 통달하였다.

과거에 낙방한 뒤 벼슬길을 포기하고 풍수로서 각지를 전전하며 빈한한 생활을 하였다. 당시 과거제도의 부패상,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삼정의 문란 등으로 일반 백성들의 비참한 현실을 체험하면서 사회의 모순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던 중 가산에서 풍수로 부호의 집을 드나들던 우군칙(禹君則)을 만나 뜻이 통하자 반란을 모의하였다. 그는 시국에 불만을 품고 있는 자들을 이용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당시 향촌에서 부를 축적해 하층지배자로 진출한 계층과 황해도 · 평안도 일대의 사상인(私商人)에게 접근하였다.

또한 관로가 막혀 현실에 불만을 품고 있던 양반 지식층에게도 접근해 진사 김창시(金昌始) 등을 반란군에 끌어들였다. 한편으로는 우군칙과 친하게 지내던 이희저(李禧著)를 이용해, 대상(大商)들의 후원을 받도록 하였다. 즉, 정주성의 거부(巨富) 이침(李琛) · 김석하(金石河), 안주상인(安州商人) 나대곤(羅大坤), 송상(松商) 박광유(朴光有) · 홍용서(洪龍瑞)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또, 주3의 발굴에도 주력해 제상(蹄商) 홍총각(洪總角), 평민 이제초(李濟初) 등의 장수, 그리고 지략과 무용을 겸비한 우군칙의 제자 김사용(金士用) 등을 끌어들였다.

그리고 가산 다복동(多福洞)을 근거지로 10여 년 간 준비한 뒤, 1811년(순조 11) 극심한 흉년으로 인심이 흉흉해진 틈을 타 난을 일으켰다. 난 초기에는 각지의 내통 세력의 도움으로 민폐를 끼치지 않고 엄한 군율에 따라 쉽사리 가산 · 곽산 등 7개읍을 점령하였다.

그러나 안주 · 연변의 진공을 앞두고 내분이 일어나는가 하면, 홍경래마저 부상을 당하자 사태가 불리해졌다. 더욱이 봉기의 주축 세력 가운데에는 그를 암살해 관군에 공을 세우려는 배반자도 생겨났다.

이런 가운데 박천 · 송림전투에서 관군에게 패배하면서 정주성으로 후퇴하게 되었다. 반란군은 고립된 정주성에서 4개월 간을 버티었으나, 결국 성은 함락되고 그도 총에 맞아 죽고 말았다.

그는 조선 후기 사회가 가진 모순을 깊이 인식한 뒤, 사회변혁을 위해 치밀한 준비 끝에 거병해 반란 초기에 평안도 일대를 점령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층 농민들의 반봉건적인 저항력과 절실한 이해를 대변하지 못한 인식의 한계, 그리고 당시의 사회적 제약으로 끝내 실패하였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관서신미록(關西辛未錄)』
『진중일기(陣中日記)』
『서정일기(西征日記)』
『임신평란록(壬申平亂錄)』
『관서평란록(關西平亂錄)』
『평안감영계록(平安監營啓錄)』
『순무영등록(巡撫營謄錄)』
『서적변출후조지일기(西賊變出後朝紙日記)』
『정초집략(征剿輯略)』
『일승(日乘)』
『홍경래전(洪景來傳)』(현상윤, 동아일보사, 1932)
『홍경래(洪景來)』(조용훈, 정음사, 1949)
「홍경래(洪景來)」(장덕순, 『한국의 인간상』 2, 신구문화사, 1965)
「홍경래란(洪景來亂)과 정주성도(定州城圖)」(이병도, 『백산학보』 3, 1967)
「홍경래란(洪景來亂)의 성격」(정석종, 『한국사연구』 7, 1972)
주석
주1

병법에 대하여 쓴 책.    우리말샘

주2

술법(術法)에 관한 책.    우리말샘

주3

뛰어나게 힘이 센 사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