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예문 ()

목차
관련 정보
화엄예문
화엄예문
불교
문헌
조선후기 불교의 화엄의식의 절차를 수록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불교의 화엄의식의 절차를 수록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내용

1권 1책. 필사본. 편자 연대는 미상이나 책의 상태로 보아 조선 말기에 쓰인 듯하다. 이 책이 쓰인 동기는 비로자나불을 모신 화엄전에서 행하는 의식을 체계화하고 화엄회상의 불보살을 찬탄하기 위해서이다.

그 내용은 첫째 청정법신(淸淨法身)인 비로자나불,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인 석가모니불, 원만보신(圓滿報身)인 아미타불, 당래불(當來佛)인 미륵불을 찬탄하며 귀의하였다. 둘째 『나무대방광불화엄경(南無大方廣佛華嚴經)』을 서두로 하고 9회로 나누어 경문의 내용을 찬탄하고 있는데, 이는 『화엄경』이 9회에 걸쳐 설하여졌기 때문이다. 끝으로, 다시 제1처에서 여래가 치아와 눈썹을 통하여 광명을 놓으며 설법한 장엄함과, 제2처에서 보여준 여래의 덕상에 귀의하고 찬탄하는 내용으로 끝을 맺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의 특징은 짧은 의식문 속에 광대한 『화엄경』의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하였기 때문에 일상의 의식을 통하여 화엄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점이라 하겠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관련 미디어 (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