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은집 ()

목차
관련 정보
화은집
화은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시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시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부인 숙인(淑人)김씨(金氏)가 편집, 1738년(영조 14) 간행하였으며, 1809년(순조 9) 중간되었다. 권두에 이덕수(李德壽)의 서문이, 권말에 5대손 용익(龍翼)의 후지(後識)가 있다. 규장각도서·국민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사부(辭賦) 4편, 시 59수, 권2·3은 시 268수, 권4는 소(疏) 2편, 여문(儷文) 5편, 권5는 서(序) 7편, 기(記) 1편, 발(跋) 6편, 설(說) 1편, 잡록 26편, 권6은 서(書) 7편, 제문 12편, 권7은 행장 4편, 권8은 비갈표(碑碣表) 10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청수서로중령관방소(擬請修西路中嶺關防疏)」는 국경지방의 관문을 보수하여야 한다는 내용으로, 지방사 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관서변무소(關西辨誣疏)」는 암행어사 여필희(呂必禧)의 무함에 대한 상소문으로, 역시 평안도 지방의 민속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기문록(記聞錄)」에는, 첫째 방언(方言)에 관한 것, 둘째 우리나라와 중국의 화폐에 관한 용어와 역사, 셋째 옷 색깔에 관한 것, 넷째 문익점(文益漸)·최무선(崔茂宣) 등의 사묘(祠廟) 건립에 관한 문제, 다섯째 문묘의 배향문제와 석전제(釋奠祭)의 의식절차, 여섯째 관서지방의 중요성, 일곱째 심의(沈義)의 몽유록(大觀齋夢游錄), 병자호란에 관한 기록, 김진(金搢)의 일화, 1619년(광해군 11) 명나라의 우모령(牛毛嶺)전투에서 형주인(荊州人)인 강세작(康世爵)과 관련된 일화 등을 기술하고 있다.

「연행견문록(燕行見聞錄)」은 당시 중국 동북지방의 민속사를 기록한 귀중한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