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암문집 ()

효암문집
효암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중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중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7년에 이중철의 아들 이덕호(李德鎬)가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김호직(金浩直)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8권 10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250여수, 권2∼4에 소(疏)·서(書), 권5에 잡저·서(序), 권6에 정자·재사·정사의 기문과 중건기 56편, 권7에 발문 17편, 잠(箴) 1편, 명(銘) 5편, 찬(贊) 1편, 전(傳) 1편, 상량문 12편, 권8에 애사 2편, 뇌문(誄文) 2편, 축문 2편, 고유문 7편, 상향축문 12편, 제문 20편, 광기(壙記) 3편, 권9∼13에 묘표 3편, 묘지명 9편, 비명 12편, 묘갈명 128편, 권14∼16에 행장 61편, 부록으로 저자의 유사·행장·묘지명·묘갈명·발문, 권17·18에 부록인 만시·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영남의 문사들과 화답·수창한 것이 많으며, 특히 친지들의 죽음을 슬퍼하는 만시가 많다. 시의(詩意)가 고요하고 엄숙하며, 화려하지 않고 그윽하다. 소에는 큰아버지를 대신하여 지은 사직소문이 있다. 서(書)는 이만각(李晩慤)과 김흥락(金興洛)에게 올린 것을 비롯하여 이돈우(李敦禹)·유건호(柳建鎬)·유필영(柳必永) 등과 주고받은 것으로, 주로 시사(時事)에 대한 의논과 상제(喪祭)에 관한 문목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잡저 중 「기제부제단합설무이변(忌祭祔祭單合設無異辨)」은 제례에 관한 것으로서 정자(程子)와 주희(朱熹)·이황(李滉)의 설을 인용하여 변을 지은 것이며, 「서시아질급제손(書示兒姪及諸孫)」은 사람이 되는 도리를 밝혀 선행(善行)·독서·봉사(奉祀)·책선(責善)하는 요점을 자질과 여러 손자들에게 훈계한 것으로 수신하는 데 참고할만하다. 서(序)는 동유(同遊)하면서 쓴 동유록이나 계첩, 각종 문집의 서문으로 모두 43편이 수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