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척서정 ( )

담양 척서정 정측면
담양 척서정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영천이씨 대치 문중의 누정. 정자.
이칭
이칭
강호정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담양척서정(潭陽滌暑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5년 02월 26일 지정)
소재지
전남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1038-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영천이씨 대치 문중의 누정. 정자.
개설

척서정은 조선시대의 정자로,강호정이었다가 척서정으로 개칭되었으며, 이정태를 비롯하여 이인, 이동욱 등의 지은 시와 기문이 있다. 2005년 2월 26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에 거주하는 영천이씨 대치문중에서 소유, 관리해오고 있다.

역사적 변천

『광주읍지』(1879년)에 강호정을 척서정(滌暑亭)으로 했다는 기록이 있어, 처음 이름은 강호정이었으나 후에 ‘더위를 씻는다’는 의미를 지닌 척서정으로 바꾼 것임을 알 수 있다. 정자 내부에 영천이씨 야은(野隱) 이정태(李鼎泰, 15951669)의 시 2수, 이인(李璘)의 시, 1849년(헌종 15)의 이동욱(李東勖, 17891849) 기문, 1893년(고종 31)의 시와 기문 편액이 있다. 이로 미루어 척서정은 17세기에 건립의 유서가 마련되어 그 후 몇 차례 중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척서정은 남향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형태이다. 한 단 낮은 기단 위에 자연석 덤벙주초를 놓고 원주를 세웠으며, 원주 위에는 보아지와 단여를 십자형으로 걸치고 그 위에 대량과 납도리를 얹었다. 일반적으로 가설하는 주두와 소로, 장혀 등은 보이지 않으며, 대량 위에는 판대공을 얹고 종도리를 걸쳤다. 양 측칸의 충량은 안쪽은 대량에 걸고 바깥쪽은 평주와 결구하였다. 천장은 연등천장이며, 여러 곳에 기문이 걸려있다. 마루는 장귀틀과 동귀틀을 엮어 우물마루로 깔았는데 맞춤 부분이 일부 해이해졌으며, 배면에만 낮은 머름이 있으나 풍혈이 없다. 지붕은 팔작지붕의 홑처마이며 지붕기와도 일부 번와를 하였다.

특징

건물은 충량을 비롯한 서까래와 선자연 등에서 자연스런 아름다움을 볼 수 있으며, 영천이씨 대치문중 소유로서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이 잘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조선시대에 세워진 다른 정자들이 선비들에 시문학과 원림문화의 본거지로 기능하면서 대부분 강변 등의 경승지에 위치하는 데 반하여, 척서정은 마을 한가운데에 있는 무실(無室) 정자로, 일종의 종회소 겸 교류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광주읍지』(1879)
「담양 척서정 조사보고」(박강철·천득염·최한선·김희태, 『지방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위원회 심의자료-』, 전라남도, 2005)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