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 ( )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
불교
문헌
국가유산
여섯 가지 경전을 모아 한 책으로 간행한 것으로,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소장된 불교서. 복장유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림사사천왕상복장육경합부(寶林寺四天王像腹藏六經合部)
분류
기록유산/문서류/사찰문서/기타류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8년 08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여섯 가지 경전을 모아 한 책으로 간행한 것으로,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소장된 불교서. 복장유물.
개설

보림사 사천왕상의 복장유물로,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서지적 사항

금사사판의 전체 크기는 29.3×17.5㎝, 반곽의 크기는 19.5×12.8㎝이며, 반엽 8행 17자, 무계이다. 원암사판의 전체 크기는 26.7×16.2㎝, 반곽의 크기는 19.6×13㎝이며, 반엽 8행 17자, 무계이다.

선종개판의 전체 크기는 26.5×17.2㎝, 반곽의 크기는 19.3×13㎝이며, 반엽 8행 17자, 무계이다.

화암사판의 전체 크기는 27×16㎝, 반곽의 크기는 19×12.8㎝이며, 사주단선, 반엽 8행 17자, 무계이다.

증심사판의 전체 크기는 23.7×16.4㎝, 반곽의 크기는 19.5×12.5㎝이며, 사주단선, 반엽 8행 17자, 무계이다.

내용

『육경합부』는 조선 초기에 널리 독송되던 『금강반야바라밀경』 ·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 『대불정수능엄신주』 · 『불설아미타경』 · 『관세음보살예문』 ·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등 여섯 가지 경전을 모아 한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고본은 1424년(세종 6)에 전라도 완주의 안심사(安心寺)에서 개판되었으며, 이밖에도 현재까지 알려진 판본은 20여종 이상이다. 이들 판본의 대부분이 임진왜란 이전인 15세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본은 모두 7종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간행연도가 확실한 것은 1499년(세종 31) 금사사판, 1457년(세조 3) 원암사판, 1449년(세종 31) 선종개판 2책, 1488(성종 19) 화암사판, 1449년(성종 20) 증심사판 등 5종 6책으로, 이 역시 대부분 15세기 판본으로 밝혀졌다.

의의와 평가

이들 판본은 모두 조선시대에 판각된 것으로, 간행연도가 확실하고 현재까지 매우 희귀하게 전래되고 있어 국가유산의 가치가 매우 높다.

참고문헌

『보림사』(최인선·양기수·김희태, 학연문화사, 2002)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1998)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불서」(송일기,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2002)
「장흥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불서 지정조사보고서」(송일기·전종주·김희태, 『지방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전라남도, 1998.4)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