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조선창화시권 ()

봉사조선창화시권
봉사조선창화시권
한문학
문헌
국가유산
1450년 예겸 · 성삼문 · 신숙주 · 정인지와 명나라의 봉사(奉使) 예겸의 시문 37편을 모아 수록한 문서. 시권 · 권축.
이칭
이칭
봉사조선창화시책(奉使朝鮮倡和詩冊)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봉사조선창화시권(奉使朝鮮倡和詩卷)
분류
기록유산/서간류/시고류/시고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4년 05월 07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450년 예겸 · 성삼문 · 신숙주 · 정인지와 명나라의 봉사(奉使) 예겸의 시문 37편을 모아 수록한 문서. 시권 · 권축.
개설

왕숙안(王叔安)이 전서(篆書)로 ‘봉사조선창화시책(奉使朝鮮倡和詩冊)’이라 쓴 제전(題篆)과 창화시 본체 및 청나라 당한제(唐翰題)와 나진옥(羅振玉)이 쓴 발문(跋文)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시권이다.

2004년 5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시권은 한림원시강(翰林院侍講) 예겸(倪謙)이 경제(景帝, 재위 1450∼1457)의 등극을 알리는 조서(詔書)를 가지고 1450년(세종 32) 윤정월 1일에 사신으로 조선에 왔다가 귀로(歸路) 중 압록강에 이르렀을 때인 2월 3일까지 약 1개월 동안에 원접사인 정인지 등과 창화한 시문 중 37편을 추려서 엮은 것이다. 권축으로 만든 것을 1905년에 개장하였다.

내용

시권에는 시문의 찬자와 소장자의 도서(圖書) 수십 과(顆)가 날인되어 있다. 권말에는 1905년에 쓴 발문이 추가되어 있는데, 나진옥은 이 책이 가흥당씨(嘉興唐氏)에게서 입수한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 본은 당한제의 구장본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국내에 유입된 시기는 1958년에 동빈(東濱) 김상기(金庠基), 두계(斗溪) 이병도(李丙燾) 등 6인이 쓴 감정기(鑑定記)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 그 후 청명(靑溟) 임창순(任昌淳)의 진장(珍藏)에 속해 있다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초기 대명외교의 생생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문학사와 서예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임민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