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 ( ▽)

목차
관련 정보
하동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
하동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팔상전에 봉안되어 있던 조선시대 신중도.
이칭
이칭
쌍계사고법당제석신중탱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2003년 04월 17일 지정)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팔상전에 봉안되어 있던 조선시대 신중도.
개설

이 불화는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중(護法神衆)을 그린 불화로서, 본래 쌍계사 팔상전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후기 1790년(정조 14)에 평삼(平三)·국인(國仁)·극찬(極贊) 등의 화승이 제작하였으며, 2003년 4월 17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화면의 상단에는 제석천(帝釋天)과 범천(梵天) 및 천부중(天部衆), 하단은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천룡팔부(天龍八部)를 묘사하였다. 화면에 표현된 인물 구성은 여백이 거의 없이 빽빽하며, 그 주위는 황록색의 채운(彩雲)과 화려한 문양이 장식되어 전체적으로 복잡한 느낌을 준다. 색채는 적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루며, 청색·황색·갈색 등이 함께 사용되었다.

녹색의 원형두광을 두른 제석천과 범천은 상체만 표현되었는데, 둥근 얼굴에 팔자형 눈썹과 조그만 눈, 코, 입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화려한 보관을 쓰고 두꺼운 천의를 입고 있는데, 양 소매 위로 레이스와 깃털형의 장식이 묘사되어 있으며 목에 흰색의 깃이 둥글게 접혀 있어 보살의 천의와는 다르다. 주위에는 중앙을 향하여 합장을 한 네 보살과 홀을 든 일궁천자(日宮天子)와 월궁천자(月宮天子)가 시립하였으며, 비파·피리·소라·장구 등의 다양한 악기와 번(幡)을 든 천인이 작게 표현되었다. 하단 중앙에는 위태천이 날개형 투구와 화려한 갑옷을 입고 합장하고 있으며, 그 주위로 팔부중과 비슷한 모습을 한 11구의 천군(天軍)들이 합장하거나 칼 등의 무기를 든 채 다양한 표정과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신중도는 1781년 제작된 「쌍계사국사암신중도」을 모본으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채색도 잘 남아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전통적인 도상을 계승하여 제작된 작품으로 이후 호남지역 신중도의 전형적인 도상이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신중』(국립중앙박물관, 2013)
『한국의 불화』 권25, 쌍계사 본말사편(상)(성보문화재연구원, 2002)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할미디어, 2001)
「조선시대 신중도 연구」(김현중,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문화재청(www.cha.go.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