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암 함풍11년명 신중도 ( )

양산 통도사 안양암 함풍11년명 신중도
양산 통도사 안양암 함풍11년명 신중도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안양암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함풍11년명 칠성탱(通度寺咸豊十一年七星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12월 27일 지정)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지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안양암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개설

불법(佛法)을 옹호하는 신중(神衆)을 그린 신중도로서, 함풍(咸豊) 11년(1861, 철종 11)의 명문이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이다. 비단에 채색하였으며, 크기는 세로 128㎝, 가로 120㎝이다. 안양암 금당에 봉안되어 있으며, 2001년 9월 27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의 상단에는 4곡 병풍을 배경으로 제석천(帝釋天)과 주악천인(奏樂天人) 등 천부중(天部衆)을, 하단에는 위태천(韋駄天)과 천룡팔부(天龍八部)를 배치한 제석천룡도(帝釋天龍圖)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하단의 중앙부에 2구의 선악동자를 배치한 독특한 구성을 보여준다. 채색은 적색 · 황색 · 청색 · 백색 · 녹색 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위태천의 신광과 무기에는 부분적으로 금니를 사용하여 화려한 느낌을 준다. 필선은 철선묘(鐵線描)를 사용하여 곧고 안정된 필선이 돋보인다.

상단의 제석천은 장구 · 북 · 대금 · 비파 · 생황 · 법라 등을 연주하는 주악천인들에게 둘러싸여 오른손에 비스듬히 연꽃을 들고 서 있는데,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어깨에는 운견(雲肩)을 걸치고 있다. 아래쪽에는 제석천의 대표적인 협시인 일궁천자(日宮天子)와 월궁천자(月宮天子)가 홀을 들고 서 있으나 위태천 옆에 표현되어 마치 위태천의 권속처럼 보인다. 제석천의 아래에는 구름으로 화면을 분리하여 위태천과 권속들을 묘사하였는데, 원형의 두광과 신광을 두른 위태천이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모습으로 두 손으로 무기를 들고 있으며 좌우에는 창과 활, 삼차극 등 무기를 든 천룡팔부가 자유로운 모습으로 서 있다. 위태천의 아래에는 원형의 커다란 광배 안에 2구의 동자가 각각 사리기와 꽃을 들고 연꽃대좌 위에 서 있다.

이처럼 화면 아래 선악동자를 2구 배치하는 도상은 18세기 후반부터 등장하는 것으로 주로 경기도와 경상도 일대의 불화에서 볼 수 있으며, 지장보살도와 신중도, 아미타불화 등 다양한 불화에 표현되고 있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이 불화에서처럼 쌍개(雙紒)의 동자 한 쌍이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징

전체적으로 인물들의 크기를 비슷하게 처리하여 화면이 꽉 찬 느낌이 들면서도 짜임새 있는 구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하단의 중앙부에 2구의 선악동자를 배치한 구성은 독특한 느낌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이 신중도는 명문으로써 조성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불화로서, 통도사에 남아 있는 다른 불화들과 더불어 조선 후기 불교회화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신중』(국립중앙박물관, 2013)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할미디어, 2001)
『한국의 불화』 권1, 통도사 본말사편(상)(성보문화재연구원, 1996)
「조선시대 신중도 연구」(김현중,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