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내산서원 강감회요 목판 ( )

목차
관련 정보
영광 내산서원 강감회요 목판
영광 내산서원 강감회요 목판
출판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내산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강감회요』의 목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광내산서원강감회요목판(靈光內山書院綱鑑會要木板)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간본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9년 07월 05일 지정)
소재지
전남 영광군 불갑면 강항로 101 (쌍운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내산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강감회요』의 목판.
개설

『강감회요』는 조선 중기의 문신 · 학자 강항(姜沆, 1567∼1618)이 중국의 역사서인 『자치통감(資治通鑑)』과 『통감강목(通鑑綱目)』 등을 보완하여 정리한 사서(史書)이다. 강항은 1593년(선조 26) 문과에 급제하여 교서관 정자, 공조와 형조의 좌랑 등을 지냈다. 정유재란 때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일본에 성리학을 전파하고, 귀국 후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이 목판은 총 642판으로, 1702년(숙종 28)에 판각된 것으로 보인다. 1999년 7월 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어 내산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처음에는 영암군 도갑사(道岬寺)에서 판각하여 읍내의 녹동서원(鹿洞書院)으로 이관하였는데, 이 서원이 훼철되자 덕진면 영보리 장판각에 보관하다가 1979년 내산서원으로 옮겼다. 내산서원은 1635년(인조 13)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으로 사액된 서원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었다가 1974년 현위치에 복원한 서원이다. 주위에 강항의 묘소와 동상이 있다.

내용

『강감회요』는 모두 17권으로 각 권마다 상 · 하 2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주요 내용은 강목(綱目)과 같이 주(周) · 한(漢) · 진(晉) · 남북조(南北朝) · 수(隋) · 당(唐) · 오대사(五代史)로 편성되어 있다. 첫머리에 강항의 제자 윤순거(尹舜擧)가 1667년(현종 8)에 쓴 서문이 있다.

목판의 전체 크기는 가로 50.5㎝, 세로 22㎝이다. 변란은 사주단변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6㎝, 세로 20.2㎝이다. 판면은 계선이 보이고 있고, 반면은 12행으로 1행에는 22자가 배자되어 있다. 판심부에 서명은 보이지 않고 권수와 장수만 표시되어 있으며, 어미는 상하내향에 2엽화문이다. 판면의 상단부[天頭]에 두주(頭注)가 판각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목판은 연대가 오래되고, 특이한 이력을 겪은 강항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판각 후 서원의 폐지 등 여러 이유로 이관이 빈번하였으나 보존이 잘되고 있으며, 인본(印本)도 국립중앙도서관에 1권밖에 없어 희소성이 큰 자료이다.

참고문헌

『수은집(睡隱集)』
『강감회요(綱鑑會要)』
『전남서원의 목판』(송일기 외, 전남대학교문헌정보연구소·전라남도, 1998)
『전남권문집해제』(전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97)
「강감회요목판」(송일기,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전라남도·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200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