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부춘정 ( )

영암 부춘정 전경
영암 부춘정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조선후기 진주강씨 문중에서 건립한 누정. 정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암부춘정(靈巖富春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5년 06월 13일 지정)
소재지
영암읍 망호리 206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조선후기 진주강씨 문중에서 건립한 누정. 정자.
개설

조선시대의 정자 1동으로, 원래 강진에서 영암으로 입향한 진주강씨문중에서 1618년(광해군 10)경에 건립한 것이다. 이후 1672년(현종 13) 전후하여 몇 차례 중수를 거쳐, 1866년(고종 3)에 중수되었으며,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 정자는 평면 구성이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앞면을 벽이 없는 마루로 하고 배면을 벽으로 막힌 실(室)로 처리하여 전후가 대칭적으로 되어 있다. 건축구조적인 면에 있어서 전후병렬식 겹집이다. 내부 가구구조는 쌍시옷자 형으로 짜여 있는데, 주심도리 · 중도리 · 종도리가 있는 5량의 기본가구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마루와 방을 경계 짓는 내진주열에 주심도리에 상응하는 별도의 구조재를 추가 설치하여 이 부재를 중심으로 대청마루 상부와 방의 상부구조가 각각 별도의 병렬조합식 3량 가구구조형식을 취하는 특이한 구조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본건물의 5량가구 구조의 중도리가 대청마루 상부의 종도리가 되어 3량가구 구조의 형식을 취하고, 인접한 방의 상부도 동일한 방식을 취하여 이중적 가구수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예는 한국의 전통건축에서 그 유례를 찾기 힘든 예이다. 주요 구조재 가운데 기둥[柱]재 치목기법에서는 휜 원목을 곧게 펴서 사용하는 옛 기법을 볼 수 있고, 지붕 합각부 박공은 정한 곡률을 갖고 있는 두꺼운 목재를 인거톱질하여 동일한 곡률을 갖는 한 짝의 판재로 치목하여 좌우대칭되게 설치된 것으로 옛 수법이 그대로 남아 있다.

특징

정자의 안쪽이 전부 실로 구성된 구조로 보아 단순한 정자로서의 기능보다는 서재와 학숙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주변의 풍광이 뛰어난 곳에 위치하고 관련 시문이 다수 전하여 오고 있어 중요시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정자 건물의 이중적 가구수법의 예는 우리나라 전통건축에서 그 유례를 찾기 힘든 예로, 건조물 구조의 희귀성 등 건축사적 가치도 크다. 전면 우측협칸 상부에 ‘富春亭’ 현판이 걸려 있으며, 내부에는 ‘富春亭重修記(부춘정중수기, 1672)’ 등의 편액이 걸려있다. 2008년 해체 수리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영암 부춘정 조사보고」(박강철·천득염·김지민·최한선·김희태, 『지방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위원회 심의자료』, 전라남도, 2005)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