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건륭57년명 신중도 ( )

양산 통도사 건륭57년명 신중도
양산 통도사 건륭57년명 신중도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건륭57년명 신중도(通度寺乾隆五十七年銘神衆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1년 09월 27일 지정)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지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화.
개설

제석천(帝釋天)과 위태천(韋駄天)이 여러 신중(神衆)에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그린 신중도이다. 1792년(정조 16) 양공(良工) 복찬(福贊), 지연(指演), 치심(致心), 돈활(頓活), 포선(抱善) 등이 통도사에서 조성하여 원적산 금봉암(金鳳庵)에 봉안하였으나, 현재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다.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고, 그림의 크기는 세로 92㎝ 가로 81.5㎝이다. 2001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작은 화면의 중앙에 제석천과 위태천이 마주보고 서 있으며, 그 주위에는 일궁천자(日宮天子)와 월궁천자(月宮天子)를 비롯하여 천룡팔부, 동자, 동녀 등이 둘러싸고 있는 간단한 구도를 취하고 있다. 제석천은 보관을 쓰고 합장한 채 오른쪽을 향해 서 있는데, 둥글고 양감있는 얼굴에 작은 이목구비가 가는 선으로 그려져 있다. 위태천은 제석천보다 약간 작은데, 새 날개깃 같은 장식이 달린 화려한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모습으로 두 손을 모아 합장한 채 왼쪽을 향하고 있다. 합장한 팔에는 천으로 싼 물건을 받들고 있지만 무엇인지 확실치 않은데, 보통 칼이나 삼차극 등 무기를 들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아마도 무기가 아닌가 생각된다. 채색은 적색과 녹색, 황색, 청색, 백색 등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특히 적색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얼굴을 백색으로 칠하여 화면 전체에 밝으면서도 환한 느낌을 준다. 필선은 곧은 철선묘(鐵線描)를 사용하였으며, 문양은 많지 않지만 제석천의 붉은 옷에는 백색의 잔잔한 화문이 시문되어 있다.

특징

이 불화는 채색에서 적색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얼굴을 백색으로 칠하여 화면 전체에 밝으면서도 환한 느낌을 준다.

의의와 평가

이 신중도는 명문이 남아 있어 조성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불화로서, 작은 화면에 여유 있는 인물배치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통도사에 남아 있는 다른 불화들과 더불어 조선 후기 불교회화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신중』(국립중앙박물관, 2013)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ᄒᆞᆯ미디어, 2001)
『한국의 불화』 권1, 통도사 본사편(상)(성보문화재연구원, 1996)
「조선시대 신중도 연구」(김현중,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