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창녕 포교당 목조 석가여래 좌상 ( )

통도사 창녕포교당 목조석가여래좌상
통도사 창녕포교당 목조석가여래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통도사 창녕포교당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창녕포교당 목조석가여래좌상(梁山 通度寺 昌寧布敎堂 木造釋迦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08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통도사 창녕포교당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상.
개설

200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통도사 창녕포교당 법당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 석가여래좌상이다. 복장(腹藏)에서 발견된 「불상조성기」를 통해 1730년(영조 6)에 수화사(首畵師)인 하천(夏天), 부화사(副畵師)인 득찰(得察), 성찬(成粲) 등이 불상 조성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금은 통도사 창녕포교당에 있지만 원래는 창녕 관룡사(觀龍寺)에 있었던 삼존상 가운데 1구임도 밝혀졌다.

내용

오른손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아 석가여래임을 알 수 있다. 머리를 약간 숙여 내려다보는 자세를 취하였으며 넓은 어깨에 비해 무릎 너비는 좁은 편이다. 둥근 머리에는 끝이 뾰족한 소라형 나발(螺髮)을 촘촘히 나타냈으며 정상 계주(髻珠)와 중간 계주를 표현하였다. 방형의 얼굴에 볼에 살이 올라 부드러운 인상을 풍긴다. 착의는 오른쪽 어깨에 둥글게 대의가 걸쳐진 변형식 편단우견이며, 밋밋한 가슴에는 도톰한 연꽃잎 모양의 군의(裙衣)를 입었다. 전체적으로 어깨를 덮은 등간격의 주름이나 양 무릎 사이에 흘러내리는 군의자락의 일률적인 옷주름 등에서 도식적인 표현을 볼 수 있으며 이는 18세기라는 시대적 특징으로 이해된다.

특징

불상의 착의법에서 전체적으로 도식적인 표현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 18세기의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불상의 조성연대와 불상 조성에 참여한 화사들의 인적사항을 정확히 알 수 있고, 18세기의 돋보이는 석가여래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이 시기 불상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ᄒᆞᆯ미디어, 2001)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은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