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 )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시대 7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시대 7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고려시대의 칠층석탑 1기로,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탑의 총높이는 7.75m이며, 높고 큼직한 1석의 방형 기단석 위에 1단의 방형 괴임대를 조출하고 그 위에 탑신부를 받고 있다. 초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짜여져 있는데, 전후 2면에는 쌍교차문을 두껍게 양각하고 좌우 양면에는 양 귀퉁이에 우주를 모각하였으며, 중간에 탱주 1주를 마련하였다. 2층 탑신도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하고 전후면에는 쌍교차문을 가늘게 음각하고, 탑신 좌우로는 마름모꼴을 하나씩 음각으로 장식하였다. 3층 탑신은 1석씩이며, 각 면에는 2층 탑신의 전후면과 같이 쌍교차문이 교차되었다. 4층 탑신은 특이하게도 판석으로 짜 맞추었으며, 역시 전후면에 쌍교차문이 음각되고 좌우로는 마름모꼴을 장식하였다. 5층 이상의 탑신은 각 1석씩으로 조성하고 각 면에는 쌍교차문을 표출하였다. 옥개석은 각 층 1석씩이며 하면에는 옥개받침을 각출하였는데, 1층·2층·3층은 5단이고, 4층은 4단, 5층·6층·7층은 3단씩으로 줄었다. 상륜부는 1단의 높은 괴임대 위에 조그마한 네모꼴의 석재가 올려져 있다. 각 층의 옥개석 처마의 단면이 사선으로 처리되었으며 전각의 반전 또한 경쾌하다.

현황

운주사 광배석불좌상 바로 앞에 위치하며, 운주사 내 다른 문화재와 함께 잘 보존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석탑의 외형을 보면 신라 전형양식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각 층 탑신석에 특이한 교차문(쌍 X자문)과 측면의 마름모꼴(◇)의 형태를 장식하는 등 국내 석탑에서는 그 유례가 없는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칠층석탑이면서도 퍽 안정감을 주는 모습으로, 운주사의 석탑 중에서는 조형미를 갖추고 있는 수준급 작품으로, 고려시대 석탑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운주사』(전남대학교박물관, 1984)
「화순 운주사지 석탑 및 불상 조사보고」(성춘경·천득염·이영숙·최인선, 『지방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위원회 심의자료』, 전라남도, 2005.4.14)
「운주사종합학술조사」(전남대학교박물관·화순군, 1991)
집필자
김희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