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들농요 (마들)

국악
작품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지역에서 전승되었던 농업노동요.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마들농요(마들農謠)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무형유산(1999년 12월 07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지역에서 전승되었던 농업노동요.
개설

현재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에 해당하는 ‘마들’ 지역에서 불렸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마들’이란 명칭은 상계동 지역에 역참기지가 있어 예전에 말들을 들판에 풀어 길렀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과, 이 일대가 삼밭이어서 삼발의 순우리말인 ‘마들’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농요는 대도시에서 전승되는 희귀한 사례로, 1999년 12월 7일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 농요는 모심는소리와 논매는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논매는소리는 다시 애벌매는소리와 두벌매는소리로 나뉜다. 모심는소리는 열소리 계통의 소리로 부르는데, “하나로다 둘이요/ 둘이라 셋/ 서이 셋 셋이로구나 셋이라 넷.” 하면서 하나부터 열까지 센 후 다시 열소리를 부르면서 모를 심는다. 음계는 ‘솔-라-도-레-미’의 경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지음은 음계의 최저음인 ‘솔’음이나 경토리와는 약간 다른 느낌을 준다.

논매는소리의 애벌매는소리는 호미로 매면서 「두루차소리」와 「엘렐렐상사도야」 등을 부른다. 「두루차소리」의 받는 소리는 “에 두루차 대화(혹은 에화)”이며, ‘레-도-라-솔-미’의 5음 음계로 이루어진 메나리토리와 경토리 음계가 섞여 있고, 메나리토리의 최저음인 미를 요성한다. 이 노래는 충청북도의 논매는소리 「어이여차 대허리야」 소리와 비슷하다. 「엘렐렐상사도야」 소리는 경토리 음계인 ‘솔-라-도-레-미’로 이루어져 있으나 메나리토리의 영향을 받아 음계의 중간음인 ‘도’음으로 종지한다. 두벌매는소리는 「미나리」이며, 아침에 맬 때 부르는 아침노래와 점심에 부르는 점심노래, 그리고 저녁에 다 매가면서 신나게 부르는 꺾음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침노래는 “이예이예 이예/ 이슬아침 나오시라고 모시치마 다 젖었네/ 이예이예 이예/ 모시치마 다 젖었거든 거덤거덤 걷어안고/ 이예이예 이예/ 영광정에 줄을 매고 동남풍에 말려주소.”를 반복한다. 점심노래는 “점심땐지 언심땐지 요내 가슴 쓸쓸하오.” 하면서 부른다. 저녁노래인 꺾음조의 받는 사설은 “둥기야 당실 둥기야 당실 모두 다 두어 당실 다 던져버리고 말이 무엇해 네가 네로고나.”이며, 매기는소리의 사설 끝에 “에헤”를 붙인다. 받는 사설에서 볼 수 있듯이 이 노래는 제주도민요 중 사당패소리의 영향을 받은 「오돌또기-둥그레당실」과 닮아 있으며, 마들에서는 사당패소리로 논농사소리를 불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밖에 논매는소리로 “에헤여라 어라 우겨라 방아로구나/나니가 난실 네로구나 니나노 방아가 좋소.”의 받는 사설을 갖는 「방아타령」과 새쫒는소리로 「우야훨훨」을 부른다.

현황

마들농요는 강원도권의 메나리를 논매는소리로 부르고 있으나 음악적 성격은 메나리토리가 아닌 메나리토리와 경토리가 섞여 있는 모습을 보인다. 그 이유는 메나리가 경기 동북부의 포천 등을 거쳐 서울로 들어오면서 경기도 민요 스타일인 경토리와 섞였기 때문이다. 저녁노래의 꺾음조는 사당패소리를 농요에 차용해서 불렀던 현상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999년에 문화재로 지정되어 자체 공연활동을 하는 등 전승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산업화가 가장 먼저 일어난 서울 시내에서 옛날의 향토 농요(農謠)가 전승되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매우 뜻 깊은 일로, 농요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지정조사자료」(1999)
국가유산청(http://www.kh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