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비양도 호니토 ( hornito)

목차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비양도에 있는 호니토.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제주 비양도 호니토(濟州 飛楊島 호니토)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지질지형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2004년 04월 09일 지정)
소재지
제주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산128-2 등 지선에 인접한 공유수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비양도에 있는 호니토.
개설

비양도는 고려 목종 연간인 1002년과 1007년에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추정된다. 호니토(hornito)는 용암이 공중에 튀어 올랐다가 다시 떨어지면서 굳어버린 바위 덩어리로, 용암기종(熔岩氣腫) 또는 용암굴뚝이라 번역할 수 있다.

제주 비양도 북쪽 해안의 파식대에 발달한 호니토는 속칭 ‘애기 업은 돌[부아석(負兒石)]’로 불리는데, 마치 어린 애기를 업고 있는 사람의 모습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004년 4월 9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제주도의 화산활동은 크게 5기로 구분된다. 5기의 후화산작용으로 형성된 분석구는 대부분 폭발분화에 의한 현무암질 쇄설물인 적갈색의 스코리아(scoria)로 이루어졌다. 분석구는 높이가 100m 내외로, 일반적으로 사면경사가 21~30°이고 원추형을 이룬다. 또 화구는 있으나 물이 괴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비양도는 현무암과 현무암질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무암의 근원은 비양도의 최고봉인 비양봉의 분화구이다. 비양봉은 분석구의 측방분출과 분화구로부터의 중심분화에 의해 형성되었다.

비양도 호니토는 공유면적이 1,323㎡, 높이가 약 8m, 최대 너비가 3m이다.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지고, 최상부는 속이 비어 있다. 현무암 용암의 내부에 함유된 가스가 배출되면서 형성되는 구조로서 내부가 비게 된 관통상 구조이다. 제주도의 용암기종군은 규모와 산출 상태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현상으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호니토는 민속과도 관계가 깊어 이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는데, 이 돌을 처음 보는 사람은 반드시 그 앞에 가서 절을 해야 하며, 만일 하지 않으면 신변에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한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