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백복령 카르스트 지대 ( Karst )

목차
자연지리
지명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임계면 직원리 백복령 일대에 형성된 카르스트 지대.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임계면 직원리 백복령 일대에 형성된 카르스트 지대.
개설

카르스트는 유럽 발칸 반도 북서부 슬로베니아에 속한 카르스트 지방의 지명에서 나온 학술용어로, 석회암 분포지에서 용식에 의해 형성된 지형을 가리킨다. 백복령 카르스트 지대는 임계면 직원리 산1-1 등 11필지에 해당되며, 2004년 4월 9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543,000㎡이다.

내용

카르스트의 생성과 발달은 암석 및 기후조건과 깊은 관련이 있다. 카르스트 작용의 규모와 그 강도는 가용성 암석, 특히 석회암의 탄산칼슘 함유량과 절리 · 층리 · 단층선 등 공극의 밀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우리나라의 주요 카르스트 분포지역은 황해도의 곡산 · 수안 · 신막 · 평산, 평안남도의 덕천 · 양덕 · 신창 · 성천 · 순천 · 강동, 함경남도의 고원 · 문천, 강원도의 삼척 · 평창 · 영월, 충청북도의 단양 · 제천, 그리고 경상북도의 문경 지역 등이다. 우리나라의 카르스트 지형은 대부분 캄브로-오르도비스기에 퇴적된 조선누층군의 석회암 지대에 발달한다.

정선 백복령 카르스트 지대는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많은 돌리네가 분포한다. 대부분의 돌리네는 너비에 비해 깊이가 얕은 형태로, 지름은 수 m에서 수십여 m에 달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특히 임계면 가목리 북쪽 능선 주위에는 수십 개의 크고 작은 돌리네가 집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지역에서 지하로 스며든 유수나 빗물이 산맥을 관통하여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일대로 스며 나와 계곡수나 용천수를 이루는 것으로 추정된다.

백복령 일대는 다른 지역과 달리 개발되지 않고 식생으로 덮여 있어 원지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이지만 부근에 석회석 광산이 있어 경관 훼손의 우려가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