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선 ()

단오선
단오선
민속·인류
물품
조선시대 단오날 임금이 재상과 시종들에게 하사한 부채.
이칭
이칭
단오부채
정의
조선시대 단오날 임금이 재상과 시종들에게 하사한 부채.
개설

부채를 하사하는 연원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명나라 사람 이후(李詡)가 쓴 『계암만필(戒菴漫筆)』에 “ 단오에 임금이 서울 관리들에게 궁중 부채를 하사하는데, 그 부채는 댓살에 종이를 바르고 새나 짐승을 그리며, 오색 천으로 애호(艾虎)를 감는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 서울의 옛 풍속에 “단오의 부채는 관원이 아전에게 나누어주고 동짓날의 달력은 아전이 관원에게 바친다”는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는 말이 있다.

조선시대 공조(工曹)에서 부채를 만들어 바치면 임금은 이것을 각 궁(宮)에 속한 재상과 시종들에게 하사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단오진선(端午進扇)과 단오사선(端午賜扇)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단오진선이란 주로 단오날 왕이 하사하기 위하여 부채의 명산지인 경상도와 전라도의 주1들에게 명하여 궁중에 바치는 부채를 말한다. 광해군 8년 5월에 왕이 명하여 단오진선의 주2을 경상도 · 전라도의 감사에게 올리게 하였다.

단오사선이란 단오날 궁중에서 왕이 신하들에게 하사하는 부채를 말한다. 선조 37년 5월 단오절에 승정원(承政院) · 홍문관(弘文館) · 실록교정청(實錄校正廳)의 관원들에게 주3과 부채를 하사했으며, 인조 15년 5월에는 왕이 주4의 군병들에게 부채 370자루를 나누어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사용방법 및 특징

대나무 생산지인 전라도와 경상도의 감사와 통제사는 임금에게 명절 부채를 진상하고 예절에 따라 조정의 대신들과 친척, 친우들에게 선사한다. 부채를 만드는 고을의 수령들도 역시 임금에게 진상하고 친우들에게 선사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기록에 의하면 왕이 하사한 부채 중에는 흰 댓살이 40개 내지 50개나 되는 매우 큰 것이 있는데, 이것은 주5이라고 하며 옻칠을 한 부채는 칠첩선(漆貼扇)이라고 했다. 이것을 받은 사람들은 대개 흰 종이에 금강산 일만 이천 봉우리를 그려 넣는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홍석모 지음, 정승모 풀어씀, 풀빛, 2009)
『한국 부채의 연구』(최상수, 한국기념도서출판협회, 1972)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둔, 각 도의 으뜸 벼슬. 그 지방의 경찰권ㆍ사법권ㆍ징세권 따위의 행정상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종이품 벼슬로, 도관찰출척사를 세조 12년(1466)에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2

기름종이를 바른 부채. 우리말샘

주3

술과 안주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평안남도 안주군에 있는 읍. 청천강에 면한 수륙 교통의 중심지로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탄광으로도 유명하다. 군청 소재지이다. 우리말샘

주5

부챗살과 부채 면에 아무런 장식이나 그림을 넣지 않은 흰 부채. 접는 부채의 하나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명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