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추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개념
기계적 풍화작용에 의해 단애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진 암괴들이 사면 기저부에 설형으로 쌓인 지형. 너덜겅 · 너덜지대 · 스크리 · scree · 돌서렁.
이칭
이칭
너덜겅, 너덜지대, 스크리, scree, 돌서렁
목차
정의
기계적 풍화작용에 의해 단애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진 암괴들이 사면 기저부에 설형으로 쌓인 지형. 너덜겅 · 너덜지대 · 스크리 · scree · 돌서렁.
개설

스크리(scree)라고도 한다. 동결과 융해가 반복되면서 기계적 풍화작용에 의해 발달하는 지형으로서 이러한 기후환경은 주빙하기후(周氷河氣候)에 해당된다. 따라서 애추는 주빙하기후환경을 알려주는 증거가 된다. 애추는 기계적 풍화의 산물이므로 암설들은 모서리가 날카롭게 각진 것이 특징이다.

내용

애추는 기계적 풍화와 관련된 것으로 주빙하기후 지역에서 전형적으로 발달한다. 따라서 현재 주빙하기후 지역이 아닌 지역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애추는 과거 빙기때 만들어진 지형이다. 이를 화석지형이라고 한다. 암벽이 노출된 단애의 경우 절리를 따라 암석은 기계적 풍화를 받기 쉽고 이로 인해 형성된 파쇄암설(破碎岩屑)은 암벽의 기저부에 계속 쌓여 암설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단애면으로부터 암설이 낙하될 때는 그 크기에 따라 낙하분급(fall sorting)이 일어나 상부에는 작은 암설이 그리고 하부에는 큰 암설이 쌓이게 된다.

현황

우리나라 산지에서는 다양한 규모와 형태를 한 애추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산악지대 사면에서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돌무더기들은 대부분 애추인데 우리말로는 ‘너덜겅’ 혹은 ‘너덜지대’, ‘돌서렁’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온대지방의 애추 대부분은 과거 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지금은 활동을 멈춘 화석지형으로 알려져 있다. 그 증거가 되는 것이 애추 표면의 암괴가 이끼로 덮여있거나 암괴를 공급한 배후의 단애 노두가 신선하지 않으며, 식생의 침입을 받기도 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에서 애추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곳 중 하나가 밀양의 얼음골이다. 얼음골은 여름철에도 얼음이 얼 정도로 찬바람이 나오는 곳으로 유명한데 바로 이 얼음골은 애추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지방에도 얼음골로 불리는 지명이 많은데 이들도 대부분 애추에 해당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참고문헌

『한국의 지형』(권동희, 한울 아카데미, 2009)
『자연지리학사전』(한국지리정보연구회, 한울 아카데미, 2004)
『지형학』(권혁재, 법문사, 1999)
집필자
권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