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유석 ()

영월 용담굴 종유석
영월 용담굴 종유석
자연지리
개념
동굴 천장에 고드름같이 달려 있는 탄산칼슘 덩어리.
목차
정의
동굴 천장에 고드름같이 달려 있는 탄산칼슘 덩어리.
개설

석회동굴 내부의 동굴 천정에서 지하수가 물방울로 떨어질 때, 지하수에 주1되어 있던 주2 성분이 천정의 물방울이 떨어지는 지점에 집적되어 시간이 흐를수록 동굴바닥쪽으로 성장해가는 지형이다. 발달 초기에는 짚종유석 형태로서 둘레가 가늘고 가운데가 빈 관 모양으로 시작된다. 짚종유석이 점차로 둘레가 넓어지고 길이도 길어진 것이 종유석이다. 종유석이 발달하는 바닥쪽에는 주3이 자라며 이 둘이 합쳐지면 석주가 된다.

연원 및 변천

지각을 구성하는 모든 암석은 주4을 받는데 특히 석회암은 탄산가스가 함유된 물에 잘 용식되어 돌리네와 석회동굴같은 특이한 카르스트 지형을 만들어 놓는다. 이때 석회암을 용식시킨 물 속에는 탄산칼슘과 탄산가스가 들어 있는데 이 물이 동굴속으로 스며들어 동굴 대기와 만나면 다시 물속에 있던 탄산가스가 방출되고 탄산칼슘이 일부 침전된다.

그러나 처음 발달한 석회동굴은 물로 가득차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는 침전작용이 일어나기 어렵다. 침전작용이 일어나는 것은 동굴의 물이 빠져나가고 동굴 내부가 공기로 채워지는 순간부터이다. 동굴에 공기가 채워지고 동굴속으로 스며드는 물 속의 탄산칼슘이 침전되면서 각종 지형이 새롭게 동굴을 채우게 되는데 이들 지형을 주5이라고 한다.

내용

스펠레오뎀에는 점적석(點滴石, dripstone)과 유석(流石, flowstone)이 있다. 점적석은 동굴 천장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에 의해 형성된다. 물방울이 떨어지기 직전에 탄산가스의 방출과 탄산칼슘의 침전은 물방울 표면에서 일어나는데 그 결과로 만들어지는 것이 가느다란 관 모양의 짚종유석 혹은 관상종유석(管狀鐘乳石)이라 불리는 것이다. 동굴 천장에 무리지어 매달리는 짚종유석은 굵기가 물방울 크기만 한데 이 짚종유석이 굵어지고 길어지면 종유석이 된다.

이러한 성장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종유석에는 나무의 나이테처럼 환상구조가 관찰된다. 유석은 물이 넓게 퍼지면서 흘러내리는 동굴벽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종유석은 마치 창문에 달아놓은 커튼 모양이라고 해서 이를 커튼 종유석이라고 하는데 다른 말로는 종유 커튼, 포상종유석(布狀鐘乳石), 베이컨 시트(bacon like sheets)라고도 부른다. 베이컨 시트라는 말은 마치 삼겹살을 닮았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현황

우리나라에는 석회암 지역에 다양한 규모의 석회동굴이 발달해 있고 이들 동굴들 속에는 많은 종유석들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영월의 연하굴(蓮下窟)은 총길이가 200미터로 짧지만 천정은 화려한 짚종유석으로 단장되어 있다. 미공개 석회동굴인 연하굴은 우리나라에서 종유석의 단위면적당 밀집도가 가장 높은 동굴로 알려졌다. 단양의 천동굴(泉洞窟)에도 동굴의 규모에 비해 전형적인 짚종유석이 밀도있게 형성되어 있다. 삼척 환선굴(幻仙窟)의 ‘도깨비 방망이’는 우리나라 석회동굴에 발달한 종유석 중 가장 큰 규모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카르스트지형과 동굴 연구』(서무송, 푸른길, 2010)
『동굴』(우경식, 지성사, 2004)
『자연지리학사전』(한국지리정보연구회, 한울 아카데미, 2004)
『지형학』(권혁재, 법문사, 1999)
『한국의 동굴』(홍시환·석동일, 대원사, 1995)
주석
주1

녹거나 녹이는 일. 우리말샘

주2

칼슘의 탄산염. 석회석ㆍ대리석ㆍ방해석 따위에서 나며, 칼슘염의 수용액에 탄산 알칼리를 작용하여 만든다. 물에 녹지 않으며, 시멘트ㆍ유리ㆍ의약품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쓴다. 화학식은 CaCO3. 우리말샘

주3

종유굴 안의 천장에 있는 종유석에서 떨어진 탄산 칼슘의 용액이 물과 이산화 탄소의 증발로 굳어 죽순(竹筍) 모양으로 이루어진 돌 기물. 우리말샘

주4

빗물이나 지하수가 암석을 용해하여 침식하는 작용. 석회암 지역에 많이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5

석회 동굴 안에서 탄산 칼슘이나 방해석이 녹아 있는 지하수가 동굴 천정에서 떨어지거나 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바닥에 가라앉거나 쌓이면서 형성된 이차적인 지형.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