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화산 ()

목차
관련 정보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백록담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백록담
자연지리
개념
현재는 활동하지 않지만 과거에 분화했거나 또는 장래에 분화가 예상되는 화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현재는 활동하지 않지만 과거에 분화했거나 또는 장래에 분화가 예상되는 화산.
개설

휴화산은 지금은 활동하지 않으나 문헌에 분화(噴火) 기록이 남아있는 화산, 혹은 지형이나 분출물의 성질에 근거하여 장래에 분화가 예상되는 화산이다. 화산은 활동 양상에 따라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 등으로 구분하지만 그 개념은 분명하지 않고 경계는 애매하다.

활화산은 현재 화산분출물이 방출되는 등 활발하게 활동 중인 화산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 활동을 하고 있지 않지만 앞으로 화산활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활화산으로 취급하는 경향이다. 즉 일반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휴화산은 넓은 의미에서 활화산에 포함된다. 또한 역사적 기록이 있더라도 앞으로 분출할 가능성이 없는 것은 휴화산보다는 사화산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내용

지구적 규모에서 활화산들은 환태평양 조산대,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로 불리는 조산대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이들 조산대는 조산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서 화산과 지진활동이 빈번하다.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화산과 지진활동이 활발한 것은 일본열도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지적으로 조산대가 아니라도 화산활동은 일어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구적 규모의 조산대에서는 떨어져 있지만 국지적으로 과거 화산활동이 있었고 앞으로도 화산활동이 재개될 가능성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휴화산 혹은 넓은 의미에서 활화산 개념에 속하는 대표적인 화산은 백두산이다. 백두산은 최근 화산학자들에 의해 가까운 장래에 분출활동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제주도 한라산은 역사적 분화기록은 있지만, 앞으로 화산활동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은 없으므로 사화산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주도에 관한 분출기록은 1002년(고려 목종 5)의 비양도 기록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주시 한림읍 북서쪽에 있는 기생화산 비양도의 해중 용출 기록이 『고려사(高麗史)』에 나오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화산활동 모습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참고문헌

『위성에서 본 한국의 화산지형』(지광훈 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
『지형도를 이용한 제주도 기생화산 연구 및 답사』(서무송, 푸른길, 2009)
『자연지리학사전』(한국지리정보연구회, 한울 아카데미, 2004)
『지형학』(권혁재, 법문사, 1999)
『地形學辭典』(町田 貞 外, 二宮書店,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