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언해)
선종영가집(언해)
언어·문자
문헌
국가유산
간경도감에서 당나라 현각의 『선종영가집』의 한문본에 한글로 토를 달고 국역하여 1464년과 1495년에 간행한 불교서. 언해서.
이칭
이칭
영가집(永嘉集)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선종영가집(언해)(1984)(禪宗永嘉集(諺解)(1984))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간경도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4년 05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0 (장충동2가, 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간경도감에서 당나라 현각의 『선종영가집』의 한문본에 한글로 토를 달고 국역하여 1464년과 1495년에 간행한 불교서. 언해서.
개설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특히 이 책은 『선종영가집』 한문본(漢文本)의 각 귀절마다 세조(世祖)가 직접 한글로 토씨를 달고(口訣), 혜각존자 신미(信眉)와 효령대군 등이 한글로 번역(國譯)한 상 · 하권 2책이다.

상권(上卷)은 1464년(세조 10)에 간경도감(刊經都監: 1461년에 한문(漢文)으로 간행된 불경을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에서 목판에 새긴 후 볏짚과 닥나무 껍질을 섞어 만든 종이, 즉 고정지(藁精紙)에 처음 찍어냈다. 즉 초간본(初刊本)이며, 책의 크기는 세로 33.1㎝, 가로 20.3㎝이다.

하권(下卷)은 1495년(연산군 1)에 정현대비(貞顯大妃: 성종(成宗)의 계비(繼妃))가 성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대대적으로 간행한 것 가운데 하나이며, 원각사(圓覺寺)에서 간경도감 소장 목판으로 다시 찍어낸 것(後印)으로, 크기는 세로 32.6㎝, 가로 21.2㎝이다.

이 책의 끝부분(卷末)에 고승 학조(學祖)가 쓴 발문(跋文)의 간행기록이 목활자(木活字)로 찍혀있다. 이 목활자는 성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모든 경전에 똑같은 내용의 간행기록을 붙이기 위해 정교하게 만든 것으로 ‘인경자(印經字)’라고 부른다.

판심제(板心題): ‘永嘉集(영가집)’.

권상(卷上): 집전(集箋) 장(張)1∼3, 서(序) 장(張)1∼17, 봉교(奉敎) 조조문(彫造文) 장(張)1∼2, 본문(本文) 장(張)1∼120.

권하(卷下): 본문(本文) 장(張)1∼149, 함허설의(函虛說義) 장(張)1∼12, 발(跋) 장(張)1∼3. 설의(說義) 장(張)4 이하는 약간 훼손되었다.

인쇄된 종이의 지질(紙質) 및 인쇄상태는, 권상(卷上)은 초간본으로 판각(板刻)과 인쇄가 정교(精巧)하고, 글자가 흑청색(黑靑色)으로 윤이 나며, 지질(紙質)도 상품고정지(上品藁精紙)이다. 권하(卷下)는 저지(楮紙)이며 연산군(燕山君)1년(1495)에 찍어 낸 후인본(後印本)이다. 하권(下卷)은 인수대비(仁粹大妃)가 승하한 성종(成宗)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원각사(圓覺寺)에서 대대적으로 인경(印經)한 것 중의 하나이다.

표지는 상하황색저지(上下黃色楮紙)를 배접(褙接)하였다.

집전말(集箋末)과 발(跋)에 각각 다음과 같은 기문(記文)이 있다.

  • 집전말(集箋末) : 천순팔년(天順八年: 1464) 정월(正月) 초오일(初五日) 도제조추충좌익공신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찬성남원부원군(都提調推忠佐翼功臣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南原府院君) 신(臣) 황수신(黃守身) 등(等) 근상전(謹上箋).

  • 발(跋): 홍치팔년(弘治八年: 1495) 추팔월하한황악산입학조(秋八月下澣黃岳山入學祖)경발(敬跋). 즉, 권말(卷末)에 수록된 학조(學祖)의 발문(跋文)은 목활자(木活字)를 사용하여 인출(印出)하였는데, 매우 아름답게 정각(精刻)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이 판본은 상권(上卷)과 하권(下卷)의 인출(印出)시기가 다르다.

  • 상권은 1464년(세조 10)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판각한 직후에 인출한듯 인쇄상태가 정교(精巧)하고, 글자의 먹색에 윤이 나며, 인쇄한 바탕 종이는 볏짚과 닥껍질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면서도 상품성이 좋은 고정지(藁精紙)로 판단된다.

  • 하권은 1495년(연산군 1)에 정현대비(貞顯大妃: 성종(成宗)의 계비(繼妃))가 성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경도감에 보존되어 있는 목판을 원각사(圓覺寺)로 가지고 와서 인출한 후인본(後印本)이다.

서지적 사항

목판본. 국역본(國譯本). 2권 2책.

책크기: 상권; 33.1✕20.3㎝. 하권; 32.6✕21.2㎝.

사주쌍변(四周雙邊). 반곽 20.8✕15.0㎝. 유계(有界). 반엽(半葉) 8행 19자.

주(註) 소자쌍행(小字雙行), 흑구(黑口),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

의의와 평가

이 책의 권말(卷末)에 목활자로 찍은 학조(學祖)의 발문(跋文)이 수록되어 있다. 성종(成宗)의 명복경(冥福經)으로 간행되었다. 책 인쇄의 상태가 정교하고 지질(紙質)이 좋아서 선본(善本)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國寶』12 書藝⋅典籍(천혜봉 편, 예경산업사, 1985).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성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