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최익현은 본관이 경주(慶州)이며,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이다.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우고 1856년(철종6) 명경과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대원군과 시정을 비판하다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풀려난 후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우국애민에 뜻을 둔 위정척사(衛正斥邪 : 정학정도(正學正道)로서의 주자학을 지키고 사학(邪學)과 이단을 물리치려는 입장)의 길을 택하였다. 을사조약 체결이후 항일 의병활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쓰시마 섬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적이 주는 음식은 결코 먹을 수 없다는 신조로 단식 투쟁을 벌이다 결국 적지에서 일생을 마쳤다.
이 모관본(毛冠本) 초상화의 오른 쪽 상단에는 ‘면암 최선생의 74세초상 모관본(勉菴先生七十四歲像 毛冠本)’이라 쓰여 있으며, 왼 쪽 하단에는 ‘을사년 1월 상순에 정산군수로 있던 채용신이 그리다(乙巳孟春上澣 定山郡守時蔡石芝圖寫)’라고 쓰여 있다. 따라서 정산군수자리에 있던 채용신이 1905년에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상은 관복에 사모 또는 심의에 복건을 착용하지만 정3품 벼슬까지 지낸 최익현이 보통 겨울철 사냥꾼이 쓰던 모관(가죽감태)을 쓴 모습으로 그려져 있어 파격적이다. 채용신의 전형적인 초상화처럼 반복된 붓질로 인물의 형태와 양감, 음영 등을 표현하였다. 모관은 가느다란 세필(細筆)로 마치 영모화(翎毛畵)를 표현하듯이 꼼꼼한 면을 보여준다. 심의는 둔탁한 흰색으로 두텁게 표현하여 맹춘(孟春: 정월)의 느낌을 전해준다. 1905년 채용신이 정산군수定山郡守로 부임했을 때 그는 최익현과 만났다. 이듬해 최익현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둘은 각별한 친분관계를 유지하였고 1910년대 초 항일우국지사들과 교류하였다. 굵게 잡힌 주름, 허공을 응시하는 듯한 눈동자와 굳게 다문 입술 등은 노년 의병장 의 모습을 잘 전해준다.
모관본 초상은 털모자로 보아, 의병장으로 활동하던 우국지사(憂國志士)이자 항일지사로서 면암선생의 모습을 화가가 염두에 두고 그려낸 작품이다. 거의 정면을 보고 있는 복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이다. 얼굴은 어두운 갈색을 기조로 윤곽선이나 이목구비를 좀 더 짙은 갈색 선으로 규정하였으며, 안면에는 무수한 붓질을 가하여 음영을 안배했는데, 이를테면 콧날이라든가 광대뼈부위 등 볼록 나온 부분에 붓질을 덜 가게 함으로써 실체감을 잘 살려냈다.
심의는 흰 색이 많이 박락되어 정교하게 다듬어진 느낌은 적지만, 양감은 잘 표현되어 있다. 옷주름은 옅은 갈색 선염기를 집어 넣어 굴곡진 주름을 과감하게 지시했으며, 고름이나 허리에 맨 띠의 형용 역시 입체감을 살리면서 거칠지만 자연스럽게 처리하여 역시 화가 채용신의 명성이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 모관본 초상화는 유일하게 면암선생 생존 시에 그려진 작품으로서, 입술을 꾹 다문 채 고개를 약간 숙이고 정면을 주시한 모습인데, 불의를 일체 용납하지 않았던 단호함과 강직함, 그리고 우국충정이 화면에 충만한 걸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