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성주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 )

창원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창원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창원시 천선동 성주사에 있는 1655년에 제작된 불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원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昌原 聖住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1년 12월 23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곰절길 191-0 (천선동, 성주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천선동 성주사에 있는 1655년에 제작된 불상.
개설

201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성주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으로 세 불상 내부에서 모두 발원문, 개금중수발원문 등이 발견되었다. 발원문 기록을 통해 1655년에 제작되었고 1702년에 개금중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로 구성된 삼세불이다.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창원웅신사신조불상시주기(昌原熊神寺新造佛像施主記)」에는 1655년 봄부터 제작을 시작하여 같은 해 가을에 조성공사를 마치고 복장 점안하였다고 한다. 화원(畵員)은 수화승(首畵僧)인 녹원(鹿元)을 비롯하여 지현(知玄), 찬인(贊印), 혜정(惠淨), 도성(道聖), 명신(明信), 긍성(肯聖), 명안(明眼), 학륜(學倫), 인종(印宗), 인신(印信) 등 11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중수개금기를 통해서 1702년에는 삼세여래의 개금불사가 있었고, 그 당시 사찰명은 창원 성주사로 쓰여져 있다. 처음 불상이 봉안되었던 웅신사와 개금불사가 있었던 성주사는 모두 경상남도 창원 불모산에 위치한 사찰로서 인근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이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징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넓은 이마에 턱이 좁은 갸름한 얼굴, 눈 두덩이가 두터우면서 긴 눈, 큰 귀, 신체에 비해 유난히 큰 손 등이 특징이다. 중앙의 석가여래상은 항마촉지의 수인에 변형 편단우견식 대의를 입었으며, 좌우의 약사여래상과 아미타여래상은 통견식 대의를 입고 한 손은 가슴 부위에 올리고 한 손은 다리 위에 놓아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 형식을 하였다. 이 삼세불상은 두꺼운 대의와 굵은 옷주름, 넓직한 대의 주름 등에서 양감과 힘이 있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조각승 녹원의 특징이다.

현황

조각승 녹원은 성주사 불상 이외에 1659년의 부산 기장 장안사 대웅전의 석조삼세불좌상이 남아 있다. 석조삼세불좌상은 2008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나 2014년 지정 해제되었다.

의의와 평가

17세기 경상도 일대에서 활동한 조각승 녹원에 의해 제작된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이다. 녹원의 가장 이른 시기 작품으로, 1659년 불석으로 제작된 기장 장안사 대웅전 석조삼세불좌상과 비교된다. 두 작품은 돌과 나무의 재료적 차이에서 오는 조형적 차이는 있으나 얼굴과 신체 표현 등에서 매우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 성주사 불상은 조각승 녹원과 경상도 지역의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기장 장안사 대웅전 석조삼세불좌상과 조선후기 석조불상」(이희정, 『문물연구』14, 동아시아문물연구, 2008.9)
집필자
정은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