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편수 ()

목차
관련 정보
건축
개념
조선후기 건축공사를 담당하던 기술자의 호칭으로, 각 분야의 책임자인 편수의 우두머리. 도변수.
이칭
이칭
도변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건축공사를 담당하던 기술자의 호칭으로, 각 분야의 책임자인 편수의 우두머리. 도변수.
개설

도편수는 17세기부터 궁궐이나 불교사찰을 짓는 공사의 기술자 책임자로 불렸으며 목수도편수, 석수도편수 등 직종별로 도편수가 조직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기술자의 사회적 대우가 낮아졌기 때문에 고려말, 조선초기의 기술자 우두머리였던 대목(大木)이 우월한 신분에서 공사를 이끌었던데 비해서 도편수는 낮은 사회적 대우 속에서 담당한 직종의 범주 안에서만 활동하는 한계를 지녔다. 궁궐 사료에서는 도변수(都邊首)로 표기되지만 통상적으로는 도편수(都片手)로 칭한다.

연원 및 변천

고려말에서 조선전기 사이에 궁궐이나 성곽을 짓는데 종사하던 기술자의 우두머리는 대목으로 불렸다. 1448년(세종 30) 서울 숭례문 수리공사의 목수 우두머리인 대목은 정5품 무관 관직에 있는 기술자였으며, 15, 16세기 불교사찰의 전각을 짓는 공사에는 대선사(大禪師) 같은 법계를 지닌 승려 대목이 공사를 주관하였다. 17세기 이후 궁궐을 짓는 공사에는 대목은 사라지고 목수변수, 석수변수 외에 온돌변수, 창호변수 등 직종에 따라 변수가 책임자 역할을 하였으며 이들을 총괄하는 기술자로 도변수라는 호칭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불교사찰의 경우에는 18세기에 들어와서 역시 대목이 사라지고 도편수가 정착하게 된다.

대목이 관직을 갖거나 법계를 지녔던 것과 달리 도편수는 특별한 사회적 지위 없이 감독관의 지시아래 주어진 부분에서만 그 역할을 하였다. 도편수의 역할 변화는 조선후기 건축이 전체적 통일성이 약해지고 부분적인 가공이 발달하는 결과를 낳았다.

현황

현재 전통건축의 공사현장에서는 도편수라는 호칭이 관습적으로는 쓰이지만 제도적으로는 인정되지 않고 있다. 현재 국가유산청에서는 목수 분야를 집 전체의 뼈대를 제작하는 대목장(大木匠)과 실내의 가구 등을 제작하는 소목장(小木匠)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공사현장에서 대목장은 건물 전체를 총괄하는 기술자 우두머리의 호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편수는 역사적인 용어로만 남아있다.

참고문헌

『개정 한국건축의 역사』(김동욱, 기문당, 2007)
『한국건축공장사연구』(김동욱, 기문당, 1993)
『한국고건물상량기문』(고고미술동인회편,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