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촌주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향(鄕)과 관련 있는 촌주(村主).
이칭
이칭
경촌주(卿村主)
목차
정의
신라시대 향(鄕)과 관련 있는 촌주(村主).
내용

향촌주(鄕村主)는 833년 청주(菁州: 지금의 경상남도 진주) 연지사(蓮池寺)에서 주조된 동종(銅鐘)에 새겨진 명문 가운데 보인다. 향촌주의 향(鄕)을 경(卿)으로 읽기도 하는 등 판독상 불분명한 점이 있다.「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의 음기에도 사향촌주(寺鄕村主, 때로는 卿으로 판독되기도 함)가 보인다. 경은 당시 일반적으로 차석(次席)의 뜻으로 사용된 단어이다. 따라서 경촌주(卿村主)라고 한다면 촌주에 다음가는 직책이 된다. 촌주는 지방의 유력자에게 주어진 직책으로서 5세기 후반 처음 두어진 이후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존속한 직명이다. 통일기에는 진촌주(眞村主)와 차촌주(次村主)로 등급이 나뉘어져 유력한 지방민의 신분 등급을 나타내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 경촌주라면 차촌주 급에 해당한다.

신라시대 향은 특수한 기능을 집단적으로 맡은 지방행정구역의 최말단 단위이다. 그렇다면 향촌주는 향에서 최고 우두머리인 촌주가 되는 셈이다. 전반적으로 후자 쪽이 타당하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다만, 사원에 설치한 성전(成典)의 관직 가운데 경의 직위를 지닌 촌주로 보기도 하고, 사원의 수리와 경영에 관여하는 역역을 관장했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역주나말려초금석문』상·하(한국역사연구회 편, 혜안, 199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3권(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신라통일기의 성전사원의 구조와 기능」(채상식,『부산사학』8, 1984)
「신라하대의 지방관사와 촌주」(김주성,『한국사연구』41, 1983)
집필자
주보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