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군사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군사(軍師)에서 분화한 지방관직.
목차
정의
신라시대 군사(軍師)에서 분화한 지방관직.
내용

가군사(假軍師)는 668년(문무왕 8) 신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군공(軍功)을 포상할 때 그 대상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비열홀(比列忽) 출신의 세활(世活)이란 인물이 보유한 직책이었다. 그밖에 다른 사례는 없다. 명칭상으로 미루어 군사(軍師)에서 파생된 직명임이 분명하다. 군사는 원래 지방민 가운데 촌주(村主)급에 해당하는 유력자에게 주어진 직책이다. 촌주가 주로 행정을 담당하였다면 군사는 병사 관련 업무를 담당한 데서 설정되었다. 촌주급에 해당하면서도 직능에 따라 명칭이 구분되었다. 가군사는 조직상 군사 다음의 지위이다. 다만 평시 지방의 유력자가 보유한 것인지 아니면 고구려와의 전쟁이 확대되면서 많은 병력이 요구된 상황 속에서 신설된 임시직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세활은 가군사로서 군공 포상으로서 속(粟) 5백석과 함께 고간(高干)이란 외위(外位)를 받았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주보돈, 신서원, 1998)
「신라의 촌과 촌주」(이우태,『한국사론』7, 1981)
「新羅六停の再檢討」(李成市,『朝鮮學報』92, 1979)
「新羅郡縣制の確立過程と村主制」(木村誠,『朝鮮史硏究會論文集』13, 1976)
집필자
주보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