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 신흥사 목조 지장보살삼존상 ( )

조각
유물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에 있는 1651년에 제작된 목조지장보살삼존상.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에 있는 1651년에 제작된 목조지장보살삼존상.
개설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흥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은 중앙에 지장보살상이 앉아 있고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서 있는 구조이다. 신흥사 극락보전의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중 관음보살상 내부에서 명부전 불상 조성에 대해 밝힌 발원문이 발견되었다. 발원문에 따르면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은 1651년 8월 조각승 무염(無染)을 비롯한 도우(道祐), 해심(海心), 덕명(德明), 처상(處常), 성잠(性岑), 원철(元哲), 도래(道來), 민기(敏奇), 의신(義信), 영택(靈澤), 영봉(靈峰), 처인(處仁), 일상(日祥) 등 모두 13명에 의해 조성되었다. 화성화원(畵成畵員) 명단도 있어 불상을 만든 화원과 개채(改彩)를 담당한 화원이 별도로 존재하였음도 알 수 있다. 또한 시왕, 판관, 사자, 동자상 조성에 대한 시주질 기록도 있어 원래는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그리고 권속들이 일괄로 명부전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찍힌 신흥사 명부전의 모습에는 시왕상이 있어 전쟁 이후 어느 시점에 소실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및 특징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은 민머리형에 오른손을 가슴 위로 들고 왼손은 무릎에 놓고 엄지와 중지를 맞댄 모습이다. 당당한 자세에 높이 98.4㎝의 큰 크기, 넓은 무릎에서 안정적인 신체비례를 보인다. 장방형의 얼굴에는 넓은 이마, 좌우로 긴 눈, 오똑한 코, 짧은 인중을 표현하였으며 양 끝이 살짝 올라간 작은 입으로 옅은 미소가 느껴진다. 입이라든가 유난히 돌출된 큰 귀, 귀 가운데 부분에 낮게 솟은 돌기 등의 표현은 무염의 독특한 조각적 특징이다. 착의법은 변형통견식으로 양 어깨 위에 대의를 걸쳤고 가슴에는 수평으로 된 승각기를 입었다. 다리 위를 덮은 옷자락은 좌우 대칭을 이루는데 다리 사이로 흘러 내린 옷주름은 간략하면서도 도식적으로 표현되었다. 좌우 도명존자상과 무독귀왕상은 신체가 짧은 편이며 합장을 하고 서 있는데 얼굴 표현은 지장보살상과 거의 비슷하다. 젊은 비구의 모습을 한 도명존자는 청색 장삼 위에 붉은 색 가사를 둘렀으며 옷주름은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뒷면 다리부분에는 네모난 복장공이 뚫려 있다. 머리에 원류관을 쓴 무독귀왕상은 얼굴에 콧수염과 턱수염을 표현하였고 붉은색 관복을 입은 모습이다.

현황

신흥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을 제작한 조각승 무염은 1633년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조성에 법해의 차화승으로 처음 등장한다. 이후 수화승으로 1635년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1650년 대전 비례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1651년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1652년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1654년 영광 불갑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좌상, 1656년 완주 송광사 나한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등을 조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속초 신흥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은 1651년 무염에 의해 조성된 불상으로 정확한 조성 시기, 제작자 등이 분명하여 17세기 중엽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작품이다. 무염은 17세기를 대표하는 조각승이며 1633년에 처음 화원으로 등장하여 1650년대 작품을 많이 남기고 있다. 이 불상은 무염의 작풍을 이해하고 그의 조각적 특징이 제자들에게 어떻게 전승되는지를 보여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7세기 조선왕조의 조각승과 불상」(송은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무염파 목불상의 조성과 설악산 신흥사 목아미타삼존불상의 연구」(문명대, 『강좌미술사』20, 한국미술사연구소, 2003)
집필자
정은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