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1911년에 채용신이 그린 최익현의 초상화.
이칭
이칭
최익현 영정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和順 春山影堂 崔益鉉 肖像)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1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춘양면 부곡리 249번지 춘산영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11년에 채용신이 그린 최익현의 초상화.
구성 및 형식

전라남도 화순 춘산영당(春山影堂)에 봉안되어 있는 「최익현 초상」은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상하단에 감색 천을 받쳐 족자로 장황되었다. 이 초상화는 가로 62.7㎝, 세로 99.3㎝이며, 2011년 12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최익현 초상」은 석지(石芝)채용신(蔡龍臣, 1848∼1941)이 1911년 4월에 그린 작품으로, 순창에서 의병 활동을 하다가 면암(勉庵)최익현(崔益鉉, 1833∼1906)과 함께 잡혀간 12열사 중의 한사람인 둔재((遯齋) 문달환(文達煥, 1852∼1938)에게 그려준 것이다. 문달환이 1927년에 춘산영당(뒤에 춘산사(春山祠)라 함)을 짓고 봉안하였다.

이 작품은 정면을 향하여 앉은 전신상으로, 무릎을 꿇고 화문석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도포자락에 가려진 두 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있다. 화면에는 화문석 이외에는 아무런 배경 묘사가 없고, 얼굴에 비해 신체를 크게 묘사하여 장대한 거인을 대하고 있는 듯하다. 복건을 높이 쓴 얼굴은 어두운 황색으로 처리하고, 눈이 뀅하게 들어간 모습은 병색이 완연하게 보여 대마도에서 단식을 하던 만년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면을 지긋이 쳐다보는 매서운 눈은 꼭 다문 입과 함께 보는 사람을 압도하고 있다.

뒷면 오른쪽 하단에는 내려쓴 ‘신해하사월상한종이품행정산군수채용신사(辛亥夏四月上澣從二品行定山郡守蔡龍臣寫)’ 라는 화기와 ‘석지(石芝)’, ‘정산군수채용신도사(定山郡守蔡龍臣圖寫)’라는 작가 주문방인(朱文方印)이 찍혀있다. 신해년은 1911년이다.

의의와 평가

채용신은 근대에 활동한 화가이기는 하지만, 한국 미술사에서 중요한 인물이고 그의 작품들은 당시 상황을 잘 드러내는 인물들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다.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은 채용신의 작품 세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이영숙 외,『문화재위원회 심의자료』, 전라남도, 2011)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