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어느 날

가을 어느날/이인성
가을 어느날/이인성
회화
작품
서양화가 이인성이 1934년에 그린 유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양화가 이인성이 1934년에 그린 유화.
내용

캔버스에 유채. 세로 96㎝, 가로 161.4㎝.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이인성이 1933년 여름부터 구상하기 시작한 이 작품은 1934년 제13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되어 특선하였다.

작품 속에는 높고 푸른 하늘이 펼쳐진 들판에 젖가슴을 드러낸 채 여인이 서 있다. 바구니를 옆에 끼고 고개를 돌려 관람자를 바라보는 반라의 여성과 민소매 원피스를 입은 단발머리 소녀의 차림은 한여름이다. 그러나 힘없이 축 늘어진 해바라기와 사과나무, 옥수수, 갈대 등 노란 빛으로 물들어가는 모습은 제목처럼 가을 들녘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풍경과 인물 간의 이러한 계절 불일치는 1933년 8월 대구에서 촬영한 사진 속 인물을 모델로 하였지만 풍경은 가을에 그려 재구성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장식적인 화면 구성, 강렬한 원색의 사용, 그리고 바구니를 왼손에 들고 측면을 향한 여인의 부자연스러운 몸짓과 적갈색 피부, 검은 머리를 늘어뜨린 모습까지 폴 고갱(Paul Gauguin, 1848~1903)의 「바닷가의 여인들」과 유사하다.

원시적인 자연과 때 묻지 않은 인간의 세계를 그리려 한 점에서 이 작품은 고갱의 영향이 다분하지만 그림 속의 두 여인은 이인성의 친동생 인순과 영자라는 실존인물이다. 또 반라의 여인이 들고 있는 바구니 역시 같은 해 입선한 정물화 「장미」에 묘사되어있는 바구니와 동일한 것이며, 바구니 위에 걸쳐 놓은 보자기도 그가 화실에 늘 걸어 놓고 그렸던 소품이다. 이처럼 이인성은 고갱의 양식을 빌려왔지만 조선인의 체형과 얼굴을 지닌 인물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사물, 낯익은 풍경을 통해 조선적인 색채와 형태, 정서를 담고자 하였다.

의의와 평가

푸른 가을 하늘, 여인의 적갈색 피부, 초록색과 노란색 식물, 붉은 대지에서 뿜어 나오는 강렬한 원색 등 풍부한 색채감각과 서정적인 분위기 묘사로 주목받았던 이 작품은 1930년대 화단에서 논쟁이 되었던 조선 향토색을 가장 잘 표현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연약한 여자와 어린 아이를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 식민지 상태인 우리나라를 전근대적이고, 여성적인 이미지로 굳어지게 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동시에 받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근대화단의 천재화가 이인성』(신수경, 아트북스. 2006)
『한국미술100년』(국립현대미술관 편, 한길사, 2006)
『한국근대회화선집』양화 4(금성출판사, 1990)
「이인성과 이쾌대 혹은 식민지 현실과 연출된 상징성」(윤범모,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3)
「이인성의 향토색 : 민족주의와 식민주의」(김영나, 『미술사논단』9, 한국미술연구소, 1999)
「향토를 그리다」(김희대, 『한국의 미술가-이인성』, 삼성문화재단, 1999)
「이인성의 1930년대 회화 연구」(신수경, 『한국근대미술사학』6,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9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