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언어 ()

언어·문자
개념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의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가상언어 · 전자언어 · 전자게시판언어 · 휴대전화언어.
이칭
이칭
가상언어, 전자언어, 전자게시판언어, 휴대전화언어
정의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의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가상언어 · 전자언어 · 전자게시판언어 · 휴대전화언어.
개설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성, 문자, 이모티콘를 총칭한 것을 말한다. 주로 컴퓨터 통신상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으로 인해 ‘통신언어’라고 하지만, 이 외에도 ‘채팅언어, 가상언어, 전자언어, 컴퓨터 대화방 언어, 전자말, 통신어/글자말, 전자말, 사이버 언어(사이버 은어), 인터넷 언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과거에는 컴퓨터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채팅(Chatting)에서 사용하는 언어라는 좁은 의미로 정의하였지만, 현재는 이모티콘, 게임상의 게임 언어, 전자 게시판 언어(Bulletin Board System), 휴대전화 언어 등으로 문자로 이루어지는 언어를 광범위하게 정의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990년대 이후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온라인 상에서는 네티즌 특히, 엔세대(Network世代)라고 불리는 청소년들이 만들어 사용하는 언어가 통용되고 있다. 그 결과 통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쓰는 언어가 필요했고, 이로 인해 생겨난 것이 통신언어이다.

통신언어는 통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쓰이는 언어이기 때문에 통신하는 사람들간의 공감대를 형성해주고 의사소통을 촉진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현재의 통신언어는 지역방언과 기존의 사회방언과는 다른 세대에 따른 사회방언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세대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내용

통신언어는 대부분 원래의 뜻에서 변화하여 제2의 의미를 가진 것들로 통신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언어를 말한다. 그래서 음성언어인 일상언어와 달리 문자언어로 이루어지고, 컴퓨터를 매개로 한 대화라는 점으로 인해 간접적이어서 시간과 형태의 경제성을 띠며, 구어와 문어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고 있다. 또한컴퓨터 자판을 이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며, 일상언어와 구별되는 어휘적 특징, 음운론적 특징, 형태론적 특징을 지닌다.

통신언어의 순기능은 첫째,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교류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사람들과도 접촉을 가능하게 해 폭넓은 교류를 가짐으로써 직접 껶어보지 못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둘째, 다른 사람과의 경험과 접촉을 풍부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셋째, 취미나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들의 모임으로 친목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사이버 문화를 통해 청소년들이 긍정적이고 사교적인 성향을 지닐 수 있게 한다. 특히 신세대들만의 교류와 친목을 통해 그 세대만의 문화를 창출하기도 한다.

다섯째, 통신 언어는 개방성과 창조성이 뛰어나다. 통신상이라는 제한된 시간 안에 신속한 대화를 위해서 다양한 어휘 변화를 보이는데 일반적인 언어와 다른 창의적인 면이 있다. 다양한 변칙적 표현이 많아 개인의 오타마저도 새로운 신조어로 수용하는 개방적인 면이 강하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빈번한 컴퓨터 통신언어의 사용은 온라인(on-line)뿐만 아니라, 오프라인(off-line)까지도 영향을 주어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급격한 언어변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언어 경제 원리보다는 가상공간의 일탈이 현실 언어에도 나타난 것이다.

이와 달리 통신언어의 역기능은 첫째, 은어의 빈번한 사용으로 통신언어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단절적 요소가 된다.

둘째, 한글 맞춤법의 혼란 및 문법 파괴이다. 자판을 쉽게 신속하게 치기 위해 국어 문법에 맞지 않은 말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문법 파괴와 맞춤법 혼란이 초래되는데 이는 통신 공간의 국어 어문 규범이 정착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셋째 성폭력이다. 통신상에서 성희롱 발언과 원조 교제 등 익명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넷째, 언어 폭력이다. 서로를 알 수 없다는 점으로 인해 욕설을 하는 경우가 많아 언어예절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다섯째, 거짓말과 헛소문으로 인한 명예 훼손이다. 근거없는 소문을 통해 특정인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거짓말에 대한 윤리성이 흔들리고 있다.

여섯째, 지나친 외래어 및 외국어의 사용으로 우리말의 지위가 약화된다. 외래어와 외국어의 오남용으로 우리말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또한 통신언어의 지나친 익명성의 보장으로 자유로운 대화가 보장되는 반면, 그것을 악용하여 상대방에게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야기시키는 비어 또는 폭력적인 언어사용이 나타나고 있다.

현황

통신언어의 어휘 유형, 사용 범위에 따른 분류, 발생 동기, 비판적 시각에 대한 논의가 많았지만, 그에 따른 명확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 통신언어 실태에 대한 분석, 통신언어의 표기법의 특성 등의 논의가 이루어졌고, 언어규범적 문제, 사회언어학적 문제가 제기되었다.

최근에는 욕설과 언어폭력이 문제가 되어 통신언어의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음의 축약·생략·첨가로 인한 언어 파괴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언어 생활에 위해(危害)가 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언어 현상이 다양한 표현을 통해 언어의 유희를 보여준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선정성과 폭력성 등의 문제로 부정적인 부분도 부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의의와 평가

일반언어와 비교할 때 통신언어가 가지는 순기능이 있지만, 현재는 그 문제점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컴퓨터 통신언어의 올바른 실태 파악을 통해 역기능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 청소년들이 표준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가져 올바른 통신언어 예절과 언어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컴퓨터 통신언어 연구』(정진수, 역락, 2005)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이정복, 월인, 2003)
「사회방언으로서의 통신언어의 위상 재정립」(신승용, 『한민족어문학』46, 2005)
「컴퓨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바람직한 방안」(권연진, 『언어과학』제7권 2호, 2000)
집필자
김지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