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극회 ()

연극
단체
해방 직후 황철이 함세덕, 박민천, 서일성 등과 함께 설립하여 1947년까지 활동했던 연극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직후 황철이 함세덕, 박민천, 서일성 등과 함께 설립하여 1947년까지 활동했던 연극단체.
개설

낙랑극회는 해방 직후 비교적 일찍 결성되었다. 혼란한 당시 상황 때문이었겠지만, 신극과 신파극, 좌익과 우익, 지식인 연극인과 상업배우 등 상반되는 성격의 연극인들이 한 극단에 모였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공연 참여자의 면면을 살펴보면 연기자 황철, 김선영, 서일성, 이해랑, 김동원, 극작가 함세덕, 연출가 이서향과 안영일, 기획자 박민천, 무대장치가 정순모 등 당대 각 분야 최고 역량의 연극인들이 함께 한 단체였다. 현실적 극단 운영을 고려하여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신파극을 공연하면서도 주기적으로 작품성 높은 정극 공연을 시도하는 등 극단의 분명한 방향성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념적으로는 ‘정치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로운 입장에서 연극하기’라는 설립 취지를 지키지 못 하고 결국 좌익 연극으로 치우침으로써 한국 연극사의 주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45년 9월 황철의 주도하에 함세덕, 서일성, 박민천, 이해랑, 김선영, 김복자 등과 함께 조직한 단체이다. 창단 공연은 1945년 11월 1일 독일의 극작가 쉴러의 작품 「군도」를 함세덕이 번안하고 연출한 「산적」이었다. 1946년 1월 4일 극단 전선과 합동공연으로 김사량 작 「붓돌이의 군복」을 올렸고, 그 외 김사량 작 「호접」, 임선규 작 「바람부는 시절」, 함세덕 작 「기미년 3월 1일」, 조우 작 「뇌우」 등 비교적 왕성한 공연활동을 벌였다. 하지만 1947년 조선연극동맹이 주최한 3·1절 기념 공연에 예술극장, 자유극장, 혁명극장, 낙랑극회, 민중극장, 문화극장, 무대예술연구회 등 7개 극단이 합동으로 함세덕 작, 이서향 연출의 「태백산맥」을 공연한 후 해산되었다.

의의와 평가

낙랑극회는 신극과 신파극, 우익과 좌익, 지식인 연극인과 상업배우들이 공존하며 다양한 연극과 기풍을 보여준 특이한 사례로서 해방 후 우리 연극을 조망하는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 편찬위원회, 집문당, 2009)
『북한문학사전』(이명재, 국학자료원, 2005)
『한국현대문학대사전』(권영민,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한국연극사』(서연호, 연극과 인간, 2003)
『우리연극 100년』(서연호·이상우, 현암사, 2000)
「낙랑극회의 공연사 연구」(김남석, 『어문논집』 제51집, 2005)
집필자
오세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