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범어사 관음전 목조 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범어사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
범어사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는 1722년에 조각승 진열이 제작한 목조관음보살좌상.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는 1722년에 조각승 진열이 제작한 목조관음보살좌상.
개설

2006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보살상은 높이 97.5㎝, 무릎 너비 64.3㎝. 범어사 관음전의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대좌에 적힌 묵서명을 통해 1722년 여름에 진열(進悅)을 비롯하여 청우(淸雨), 청휘(淸徽), 관성(貫性), 옥총(玉摠)이 범어사 비로전의 비로자나삼존을 중수하면서관음전 관음보살을 새롭게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 97.5㎝의 중형 보살상으로, 화려한 보관, 천의 자락, 화패 장식, 복갑 등 장식성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 고개를 약간 숙인 자세로 목이 짧고, 머리에는 화불, 화염보주, 봉황, 구름, 꽃, S자형 관대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보관을 썼다. 정수리에는 두 가닥으로 둥글게 말아 올린 낮은 상투머리[寶髻]가 보이고 가는 머리카락은 고리를 만들어 세 가닥으로 어깨 위에 흘러내렸다. 몸에 비해 큰 방형의 얼굴에는 넓은 미간, 살짝 올라간 눈, 뭉툭한 코, 미소가 있는 입으로 부드럽고 밝은 모습을 자아낸다.

착의법은 양어깨를 숄처럼 감싼 천의가 가슴 양옆으로 내려와 팔과 손목을 거쳐 다리 앞으로 이어지며 끝에서 S자형으로 흘러 내렸다. 무릎 아래의 군의도 S자형으로 물결치듯 주름 잡혀 복잡하고도 화려한데 여기에 가슴과 무릎에 복갑(腹鉀)과 갑대를 착용하여 그 화려함을 더한다. 관음전 보살상의 화려함은 장식구의 표현에서도 드러나는데 목걸이, 팔뚝찌, 팔찌를 착용하였으며 목에는 화염보주 형상의 화패(火佩) 장식을 늘어뜨렸다. 한편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한 조각승 진열은 1695년 성심과 함께 전북 흥양 백련사 목조가섭 · 아난존자상과 나한상 제작을 시작으로, 수화승으로서 1706년 전남 곡성 서산사 관음보살좌상(원 관음사 대은암), 1713년 경기 고양 상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관음보살상(원 고양 노적사), 1718년 경남 양산 통도사 목조사천왕상을 조성하였다. 이어서 1722년에는 범어사 불상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범어사 비로전 비로자나삼존불을 중수하고 관음전 관음보살상을 조성하였다. 이와 함께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원 범어사 적조암)도 1722년에 조성하였다. 즉 진열은 전라도 지역에서 불상 작업을 시작하여 후반기에는 경상도까지 그 활동 범위를 넓힌 조각승임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은 진열만의 독창적인 얼굴 모습과 화려한 장식, 역동적인 옷자락 표현이 강조된 18세기 전반기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관음보살상은 1722년이라는 정확한 제작 시기와 18세기의 대표적 조각승으로 알려진 진열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18세기 불교조각사와 진열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선집』Ⅲ(최선일,양사재,2018)
『조선후기 조각승 열전』(최선일,양사재,2018)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불교조각 연구』(이희정,세종출판사,2013)
『범어사의 불교미술』(박은경·정은우 외,선인,2011)
『한국의 사찰문화재』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Ⅱ(문화재청·(재)불교문화재연구소,2010)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최선일,양사재,2007)
「부산 범어사 비로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중수에 관하여」(이희정,『항도부산』17,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2010)
「고양 상운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과 조각승 진열」(최선일,『미술사학연구』244,한국미술사학회,2004)
집필자
정은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